![]() |
▲ 미국 하버드대 캠퍼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압박 등 정부 요구에 따르지 않겠다고 밝힌 하버드대에 22억 달러, 약 3조 1천억 원 규모의 보조금을 동결한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미 정부 내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한 합동 태스크포스'는 성명을 통해 트럼프 정부는 하버드대에 수년간에 걸친 보조금 22억 달러와 계약 6천만 달러를 동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하버드대가 대학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두고 협상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지 몇 시간 만에 나온 것입니다.
미 정부 태스크포스는 최근 몇 년간 캠퍼스를 휩쓴 학습 차질, 유대인 학생들에 대한 괴롭힘은 용납할 수 없다며 명문대학들이 납세자의 지원을 계속 받으려면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버드대는 지난해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학생들을 주축으로 한 가자지구 전쟁 반대 시위 이후 트럼프 백악관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됐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 2월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한 합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하버드대와 컬럼비아대 등 '반유대주의 사건'이 발생한 10개 대학 캠퍼스를 방문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달엔 미국 대학 내 반유대주의 퇴치를 위해 하버드대에 최대 90억 달러 규모의 연방 기금 지급 및 계약 여부를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또 하버드대에 '지속적인 재정 관계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9가지 조치 실행'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이 조치에는 디이아이(DEI) 즉, 다양성·평등·포용 프로그램 폐지, 입학 규정 변경, 이념적 견해를 이유로 특정 학생, 교수진 '세력' 채용 및 억제 등이 포함됐습니다.
하버드대는 앞서 반유대주의를 막기 위해 시위 주도 학생 징계와 일부 교수진 해임 등 조치를 실행했지만, 트럼프 정부의 새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교내 커뮤니티에 게시한 글에서 트럼프 정부가 연방 기금 지원을 유지하는 대가로 기존 요구 조건을 넘어서는 조건부 학칙 연장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가버 총장은 "이는 반유대주의를 협력적이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해 우리와 협력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정부가 제시한 요구 사항 중 일부는 반유대주의 근절을 목표로 하지만 대부분은 하버드의 '지적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정부 규제를 의미한다"고 반발했습니다.
하버드대 변호인단은 교육부 등 미국 정부기관에 보낸 서한에서 "하버드대를 비롯한 다른 어떤 사립대도 연방 정부에 장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윤창현 기자 chyun@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