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말레이 현지 매체 '더 스타'에 기고
美관세 폭탄에 "단결은 힘이고, 협력은 성공의 열쇠" 강조
베트남 이어 反트럼프 전선 구축 위한 선물 보따리 내놓을 듯
【하노이(베트남)=김준석 기자】 "중국은 말레이시아 및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함께 지정학적 대립, 진영 간 갈등, 일방주의 및 보호주의에 맞서 평화와 발전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따를 것이다. 중국-말레이시아 높은 수준의 운명공동체 및 중국-ASEAN 운명공동체를 함께 건설해 나갈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5일 말레이시아 국빈 방문을 앞두고 현지 매체 '더 스타'에 이같은 내용의 기고문을 게재했다. 전날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의 회담에서 미국의 일방적 괴롭힘에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힌 데 이어 반(反)트럼프 전선 구축에 힘을 쓰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순회 의장국으로, 이번 시 주석의 국빈 방문은 아세안과의 미국 관세 폭탄에 대한 공동 전선 구축 의지가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시 주석은 기고문에서 중국과 아세안의 미국 관세 폭탄 등에 대해 "단결은 힘이고, 협력은 성공의 열쇠"라며 양측의 결속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중국-ASEAN 관계는 시대의 풍랑 속에서도 강해지고 단단해졌다"면서 "중국은 최초로 동남아 우호협정(TAC)에 가입했고, 자유무역지대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ASEAN과 체결한 첫 국가"라고 말했다. 2024년 중국-ASEAN 교역은 9800억달러(약 1392조900억원)를 돌파했으며, 5년 연속 서로의 최대 교역국이다. 또, 자유무역협정(FTA) 3.0 협상도 사실상 마무리된 상태다.
말레이시아와의 협력도 강조했다. 시 주석은 양국의 "고락을 함께 한다"는 속담을 소개하며 중국과 말레이시아의 관계를 "순풍도 역풍도 함께 견디며, 평화와 위기에서 단결하고,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관계"라고 정의했다.
美관세 폭탄에 "단결은 힘이고, 협력은 성공의 열쇠" 강조
베트남 이어 反트럼프 전선 구축 위한 선물 보따리 내놓을 듯
![]()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14일 하노이에서 만나 환영객들에게 손을 흔들고있다. 뉴시스 |
【하노이(베트남)=김준석 기자】 "중국은 말레이시아 및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함께 지정학적 대립, 진영 간 갈등, 일방주의 및 보호주의에 맞서 평화와 발전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따를 것이다. 중국-말레이시아 높은 수준의 운명공동체 및 중국-ASEAN 운명공동체를 함께 건설해 나갈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5일 말레이시아 국빈 방문을 앞두고 현지 매체 '더 스타'에 이같은 내용의 기고문을 게재했다. 전날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의 회담에서 미국의 일방적 괴롭힘에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힌 데 이어 반(反)트럼프 전선 구축에 힘을 쓰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순회 의장국으로, 이번 시 주석의 국빈 방문은 아세안과의 미국 관세 폭탄에 대한 공동 전선 구축 의지가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시 주석은 기고문에서 중국과 아세안의 미국 관세 폭탄 등에 대해 "단결은 힘이고, 협력은 성공의 열쇠"라며 양측의 결속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중국-ASEAN 관계는 시대의 풍랑 속에서도 강해지고 단단해졌다"면서 "중국은 최초로 동남아 우호협정(TAC)에 가입했고, 자유무역지대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ASEAN과 체결한 첫 국가"라고 말했다. 2024년 중국-ASEAN 교역은 9800억달러(약 1392조900억원)를 돌파했으며, 5년 연속 서로의 최대 교역국이다. 또, 자유무역협정(FTA) 3.0 협상도 사실상 마무리된 상태다.
말레이시아와의 협력도 강조했다. 시 주석은 양국의 "고락을 함께 한다"는 속담을 소개하며 중국과 말레이시아의 관계를 "순풍도 역풍도 함께 견디며, 평화와 위기에서 단결하고,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관계"라고 정의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중국과 말레이시아 양국 간 교역액은 2120억달러(약 301조1460억원)로, 수교 초기 대비 약 1000배 증가했다"면서 "말레이시아산 두리안은 24시간 이내 중국 슈퍼마켓에 도착할 수 있을 정도로 유통이 활발하며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국은 상호 윈윈의 협력을 심화하고, 고품질 일대일로 협력을 추진하며, 산업 및 공급망 협력을 강화해 디지털, 녹색, 해양, 관광 경제를 중심으로 양국의 현대화를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 주석은 말레이시아의 술탄 이브라힘 국왕의 초청으로 12년 만에 국빈 방문한다. 이어 17일에는 대표적인 아세안 내 친중 국가인 캄보디아를 방문해 반 트럼프 전선 다지기에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