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현지시간) 하노이 당 중앙위원회 사무실에서 또럼 베트남공산당 서기장과 회담을 마치고 중국과 베트남이 체결한 협정 사본을 보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미국발 관세전쟁 중에 베트남을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의 ‘일방적 괴롭힘’에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른바 ‘항미연대’다. 베트남 역시 중국산 상품의 대미 우회 수출 경로로 낙인이 찍혀 46%라는 초고율 상호관세 표적이 됐다.
15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하노이에서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을 만나 “중국과 베트남은 경제 세계화의 수혜자로, 전략적 의지를 높이고 일방적 괴롭힘 행위에 함께 반대해야 한다”며 “글로벌 자유무역 체제와 산업·공급망 안정을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무차별 관세정책을 ‘일방적 괴롭힘’으로 규정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현재까지 중국을 향해 20%의 보편관세와 125%의 상호관세 등 총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베트남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에서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이다.
![]()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팜민찐 베트남 총리와 14일(현지시간) 하노이에 있는 당 중앙위원회 사무실 회의실로 이동하고 있다.AP=연합뉴스 |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회담에서 중국·베트남 운명공동체 건설을 위한 6대 조치도 제시했다.
내용은 ▶고위급 소통 강화 등 전략적 상호신뢰 증진 ▶외교·국방·공안(경찰) 분야 장관급 ‘3+3’ 전략대화 및 국경 간 범죄 공동 대응 등 안보 협력 강화 ▶철도·도로·인공지능(AI) 등 산업 협력 확대 ▶인문 교류 ▶다자 협력 ▶더 긍정적인 남중국해 해상 교류 등이다.
럼 서기장 또한 이날 “베트남은 중국과 협조를 강화해 다자주의를 견지하고, 평화공존 5원칙과 국제무역 규칙을 수호하며, 양국 합의를 준수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양국 고위급 교류와 안보·경제 협력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평화공존 5원칙은 1953년 중국 초대 총리 겸 외교부장(외교장관) 저우언라이가 인도와 국교 수립을 준비하는 과정에 확립한 외교 강령이다. 1954년부터 정식으로 적용됐고 이듬해 5월 미국·소련 냉전에 맞서 ‘비동맹’ 노선을 제시한 인도네시아 ‘반둥회의’의 정신적 기초가 됐다. 다섯 원칙은 상호 주권ㆍ영토 완전성 존중, 상호 불가침, 내정 불간섭, 평등·호혜, 평화공존 등이다.
아울러 럼 서기장은 중국과의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 상황에 관해선 “베트남은 중국과 해상 이견을 적절히 처리하고 해상 안정을 수호할 용의가 있다”고 언급했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회담 후 양국은 상호연결성·AI·검역·농산물 무역·문화·체육·민생·인적자원·미디어 등 분야에 걸친 총 45건의 합의를 체결했다.
한편 시 주석은 베트남 수도 하노이 도착에 앞서 베트남공산당 기관지 인민보에 보낸 ‘뜻과 길이 같은 사람들이 손잡고 나아가자(志同道合携手前行)’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통해 트럼프 관세 등에 대항하는 세력권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조문규 기자 chom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