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에서 퓨리오사AI NPU칩을 들어보이고 있다. 고영권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선택은 포용과 확장보다는 독주였다. 민주당은 어제 대선후보 경선 룰을 확정했다.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후보를 뽑는 방식이다. 비명계 대선주자들이 “이 전 대표에게만 유리하다”고 반발했으나 룰 변경을 강행했다. 지난 대선까지는 권리당원과 일반국민에게 차등 없이 투표권을 줬지만 이번엔 1년 전에 입당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에게 투표권 50%를 독점적으로 주기로 했다. ‘이재명 일극체제’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당을 장악한 이 전 대표가 몰표를 받을 것이 확실시되는 방식이다.
민주당 경선은 이 전 대표 추대 이벤트가 될 가능성이 커졌다.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일방적 룰 변경에 반발해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그는 당이 특정 종교집단의 역선택 우려 등을 이유로 든 데 대해 “신천지와 전광훈이 두려운데 무슨 선거를 치르느냐”고 꼬집었다. 명분이 빈약하다는 뜻이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고심 끝에 참여하기로 했다. 이로써 경선은 이 전 대표와 김 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경쟁이 됐다. 3파전이지만 ‘초강력 1강 대 2약’의 구도다.
이 전 대표와 민주당은 과정으로서의 민주주의를 무시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비명계 의견을 처음부터 제대로 수렴하지 않았고, 반발을 달래거나 타협하려는 적극적 시도도 하지 않았다. 민주적 분위기 속에 경선을 축제의 장으로 만들긴커녕 경선 흥행에 스스로 찬물을 끼얹었다. 국민의힘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차출설까지 띄우며 국민 관심을 끌어모으려 하는 것과 대비된다. 이 전 대표가 이대로 대선 본선에 가기만 하면 승리는 떼 놓은 당상이라는 오만에 취한 것은 아닌가.
이 전 대표는 지난해 총선 당시 비명계 공천 학살 논란과 이후 의회 독주 논란 등을 거치며 포용과 화합이 부족하다는 이미지를 쌓았다. 대선주자 지지율이 30%대 머물고 중도층으로 지지기반을 확장하지 못한 이유다. 독주를 확실히 보장한 경선 룰 변경은 독이라는 것을 이제라도 깨닫고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