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 기자]
오픈AI가 고급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하려는 API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신원 확인' 절차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중국과 북한 등의 접근을 막고, 전반적인 보안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오픈AI는 13일(현지시간) 지원 페이지를 통해 '검증된 조직(Verified Organization)'이라는 명칭의 새로운 절차를 공개했다.
이는 오픈AI 플랫폼에서 가장 고급인 AI 모델과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으로, 신원 확인을 완료한 조직만 사용이 허용된다.
![]() |
(사진=셔터스톡) |
오픈AI가 고급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하려는 API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신원 확인' 절차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중국과 북한 등의 접근을 막고, 전반적인 보안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오픈AI는 13일(현지시간) 지원 페이지를 통해 '검증된 조직(Verified Organization)'이라는 명칭의 새로운 절차를 공개했다.
이는 오픈AI 플랫폼에서 가장 고급인 AI 모델과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으로, 신원 확인을 완료한 조직만 사용이 허용된다.
확인을 국가에서 발급된 정부 발행 인증서(ID)를 요구하며, 하나의 인증서로 90일마다 한개의 조직의 접근만 인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모든 조직이 이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오픈AI는 "일부 개발자들이 API 사용 정책을 위반해 고의로 악용하는 사례가 있어,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확인 절차를 도입하게 됐다"라며 "누구나 AI에 접근 가능하면서 동시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AI 기술이 점점 정교해지고 강력해지는 만큼, 악용 가능성도 커지고 있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그간 북한으로 추정되는 조직을 포함해 악의적인 사용 사례를 탐지하고 차단한 바 있다.
특히 지식재산권(IP) 보호를 위한 목적도 포함된 것으로 보다. 오픈AI는 중국 딥시크가 지난해 말 API를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반출했는지 미국 정부와 조사 중이다. 이 데이터는 딥시크의 증류(distillation)에 활용됐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오픈AI의 서비스 이용 약관을 위반하는 행위로 간주한다.
오픈AI는 이미 지난해 여름 중국에 대한 서비스 차단을 실시한 바 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Copyright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