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 정당의 대선 경선이 국민 기대와 멀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전 대표의 독주를 위한 '맞춤형 경선 규칙'을 확정했고, 국민의힘은 중도 확장성이 있는 후보들이 줄줄이 불출마하면서 당내 경선의 의미가 퇴색됐다.
민주당이 12일 도입한 경선 규칙은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이는 지난 20여 년간 유지해온 '100% 국민경선제'를 사실상 폐기한 것이다. 기존에는 일반 유권자도 선거인단에 등록되면 당원과 똑같은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여론조사 참여만 가능해졌다. 투표권은 권리당원에게만 주어졌다. 이재명 전 대표가 과거 당 대표 경선에서 권리당원 투표 88.1%를 얻었다는 점에서, 이번 경선 규칙은 '이재명 추대용'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이러니 '민주당은 이재명 사당(私黨)'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들러리 경선"이라며 반발할 만도 하다.
국민의힘 역시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긍정적이었던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이 출마를 포기했다. 남은 유력 후보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전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이다. 이들 중 김 전 장관과 홍 전 시장은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 인물이다. 중도층 민심과는 거리가 멀다. 한 전 대표는 탄핵에 찬성했지만, 이로 인해 당내에서 '배신자'로 찍혀 있다. 이런 당내 분위기에서 중도층을 포함한 전체 민심이 경선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여기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옹립론'까지 거론되는 건, 현재 주자들의 경쟁력 자체가 의심받고 있다는 증거다.
정당 경선의 본질은 공정한 경쟁을 통해 민심이 원하는 최적의 후보를 선출하는 데 있다. 하지만 지금 민주당은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쟁이 실종됐고, 국민의힘은 중도층을 대변할 만한 후보는 사퇴하고 있다. 이래서야 이번 대선에서 어느 쪽이 승리하더라도 민심을 받든 승리라고 말할 수 있겠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민주당이 12일 도입한 경선 규칙은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이는 지난 20여 년간 유지해온 '100% 국민경선제'를 사실상 폐기한 것이다. 기존에는 일반 유권자도 선거인단에 등록되면 당원과 똑같은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여론조사 참여만 가능해졌다. 투표권은 권리당원에게만 주어졌다. 이재명 전 대표가 과거 당 대표 경선에서 권리당원 투표 88.1%를 얻었다는 점에서, 이번 경선 규칙은 '이재명 추대용'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이러니 '민주당은 이재명 사당(私黨)'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들러리 경선"이라며 반발할 만도 하다.
국민의힘 역시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긍정적이었던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이 출마를 포기했다. 남은 유력 후보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전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이다. 이들 중 김 전 장관과 홍 전 시장은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 인물이다. 중도층 민심과는 거리가 멀다. 한 전 대표는 탄핵에 찬성했지만, 이로 인해 당내에서 '배신자'로 찍혀 있다. 이런 당내 분위기에서 중도층을 포함한 전체 민심이 경선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여기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옹립론'까지 거론되는 건, 현재 주자들의 경쟁력 자체가 의심받고 있다는 증거다.
정당 경선의 본질은 공정한 경쟁을 통해 민심이 원하는 최적의 후보를 선출하는 데 있다. 하지만 지금 민주당은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쟁이 실종됐고, 국민의힘은 중도층을 대변할 만한 후보는 사퇴하고 있다. 이래서야 이번 대선에서 어느 쪽이 승리하더라도 민심을 받든 승리라고 말할 수 있겠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