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美·中 동맹 확보 경쟁…시진핑, 베트남부터 3개국 순방

속보
팔레스타인국 부통령에 후세인 알-셰이크(64) 임명돼
시진핑, 트럼프 대응책 차원 동남아 순방
올해 첫 해외 방문국으로 베트남 선택
베트남, 양국과 긴밀한 관계…고민 클듯
아시아경제

14일(현지시간) 이틀 간의 일정으로 베트남을 찾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이 베트남 하노이 국제공항에서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 주석(오른쪽)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전쟁'에 맞서 협력을 끌어내기 위해 14일(현지시간) 베트남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3개국 순방길에 올랐다. 높은 대미무역 흑자로 '최악국가'로 꼽혀 46%의 추가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베트남이 중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를 두고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베트남 지도부 회담
미국 로이터·블룸버그·AFP 통신과 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베트남 하노이를 찾아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등 베트남 지도부와 회담한다.

이번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방문이며, 주석직 취임 후 4번째 베트남 방문이다. 시 주석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에 맞서 주요 무역 협상국들과의 공동 대응을 주창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이는 격화된 미중 무역전쟁 속에서 중국의 안정적 파트너 이미지를 부각하고자 하는 외교적 행보로 평가된다"고 짚었다.

시 주석은 이날 방문에 앞서 베트남 공산당 기관지 '년전'(인민) 기고문에서 "무역전쟁과 관세전쟁에는 승자가 없고, 보호주의에는 출구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다자간 무역체제를 확고하게 유지하고, 글로벌 산업·공급망 안정을 유지하며,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국제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현지시간) 이틀간 일정으로 베트남을 방문한 가운데 베트남 하노이 국제공항에서 시민들이 환영의 의미로 중국 깃발을 흔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어 양국 관계가 '운명공동체'라면서 "양국은 산업·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고 5세대 이동통신(5G), 인공지능(AI), 녹색 발전 등 신흥 분야 협력을 확대해 양국 국민에게 더 큰 혜택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베트남과 중국을 잇는 3개 철도 노선 구축 사업, 스마트 항만 건설 사업에서 협력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이에 럼 서기장도 중국 관영 인민일보 기고문에서 중국 최고지도자 중 가장 많이 베트남을 찾은 시 주석이 '베트남의 진심 어린 동지이자 절친한 벗'이라고 화답했다. 그는 또 중국이 베트남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자 세 번째로 큰 외국인 투자 국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두 나라가 3개 철도 노선 건설 등 주요 양국 협력 프로젝트 실행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이 타인 선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은 이번에 베트남이 철도·농업 무역·디지털·녹색 경제 분야에서 협력 강화를 기대하고 있으며, 양국이 여러 분야에서 약 40개 합의에 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례로 베트남은 또 베트남 북부와 중국을 잇는 철도 건설 사업을 위해 중국 차관을 도입하고, 중국 첫 자체 제작 중형 여객기인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코맥) C919의 베트남 운항을 승인하는 등의 '선물'을 이번에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미·중 사이에 낀 각국…외교 전략 중요할 듯
이번 순방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격화 속에서 주변국들의 외교 전략을 살필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시 주석의 첫 순방국인 베트남은 두 국가와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고민이 깊을 전망이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에서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이면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중 무역전쟁의 최대 수혜국으로 꼽힌다. 미국 수출이 국내총생산(GDP) 30%를 차지할 정도다.

베트남은 지난 2일 발표된 상호관세 명단에서 미국으로부터 중국산 상품의 대미 우회 수출 경로로 찍혀 46%라는 초고율 상호관세의 표적이 됐다. 이 때문에 중국산 제품을 베트남으로 들여와서 '베트남산'으로 생산국 표시만 바꿔 미국으로 수출하는 불법 환적 단속을 강화하는 등 미국 관세를 낮추기 위해 애쓰고 있다.


한편, 시 주석은 곧이어 15∼18일에는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방문한다. 말레이시아는 24%, 캄보디아는 49%로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미 정부로부터 고율 관세를 부과받았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