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가맹점 514개사 대상 조사
![]() |
[서울=뉴시스]외식프랜차이즈 가맹점 개설 비용(사진=중소기업중앙회 제공) 2025.04.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권혁진 기자 = 외식업계 프랜차이즈 가맹점 개설에 약 9600만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투자금 회수 기간은 평균 3년으로 나타났다.
14일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가 발표한 외식업계 프랜차이즈 가맹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투자금을 회수한 업체(49.6%)들의 평균 소요기간은 31.4개월로 집계됐다. 회수 진행 중이라는 35.4%는 평균 38.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했다.
두 사례에 비춰볼 때 창업 후 3년 정도가 지나야 투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다만 10년 이상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 가맹점도 15%에 달해 그 기간은 더 늘어날 수 있다.
업종별로는 분식(53.8%), 치킨(51.9%), 한식(51.5%) 가맹점주들의 회수율은 절반을 넘긴 반면, 커피·디저트는 38.6%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4일부터 23일까지 외식업계 프랜차이즈 가맹점 514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가맹점 가설을 위해 지출한 비용은 최초 가맹 비용 2011만원, 매장 개설 비용 7580만원 등 총 9591만원이다. 총 소요 비용 중에서는 '공사, 가구 등 인테리어 비용'이 평균 4084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응답 업체의 월평균 매출액은 2669만원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1000만~2000만원 미만이 30.5%로 가장 높았고 2000만~3000만원 미만(26.5%), 4000만원 이상(20.2%)이 뒤를 이었다.
프랜차이즈 창업 사유로는 간편한 창업절차(41.4%), 가맹본부 경영노하우 등 지원 기대(18.7%) 등이 높은 선택을 받았다. 해당 브랜드를 선택한 이유는 해당 브랜드의 상품경쟁력(38.3%), 브랜드 인지도 및 이미지(15.2%) 등이 거론됐다.
현재 운영 중인 가맹점 창업 및 경영상태에는 62.1%가 만족스러워했다. 그 이유로는 안정적 매출 및 수익 달성(28.8%), 가맹 상담 시 제공받은 정보의 정확성(27.8%), 합리적인 계약조건(27.6%) 순으로 조사됐다.
절반이 넘는 55.3%는 창업 이후에도 정액로열티(43.0%), 차액가맹금(39.4%), 매출액에 대한 정률 로열티(34.5%) 형태로 가맹본부에 계속가맹금을 지급 중이었다.
구입강제품목이 없다(13.6%)와 계속가맹금을 지급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44.7%)은 31.1%p의 차이가 발생했다. 중기중앙회는 "구입강제품목 구입비용에 차액가맹금이 포함됐다는 사실을 가맹점 사업자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라고 분석했다.
구입강제품목 수준의 적절 정도에 대해서 적절하다가 55.6%로 적절하지 않다(17.3%)를 크게 앞섰다. 보통은 27%였다. 적절하지 않다는 가맹점들은 구입강제품목 구입 시 가맹본부에 높은 차액가맹금 지불(63.6%)을 주된 이유로 언급했다.
가맹본부에 지급하는 금액 중 과도하게 청구한다고 생각하는 비용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79.4%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 |
[서울=뉴시스]외식프랜차이즈 가맹점 투자금 회수 여부 및 기간(사진=중소기업중앙회 제공) 2025.04.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예(20.6%)라고 밝힌 업체들은 로열티(45.3%), 차액가맹금(37.7%), 광고 판촉비 분담금(5.7%), 온라인상품권 이용료 분담금(5.7%) 등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가맹본부에 지급하는 금액이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매출액과 관계없이 정액으로 분담돼 수익성 악화'(30.2%)가 가장 많은 선택을 이끌어냈다.
최근 3년간(2022~2024년) 불공정거래 경험 비율은 17.7%로 조사됐다. 주요 유형은 판매가격 구속(37.4%), 원자재 등 구입강제(33.0%), 계약변경 불응 시 불이익 암시(25.3%) 등이다.
가맹사업 제도개선이 가장 시급한 부분으로는 정보공개서 공시제 도입(34.2%)이 꼽혔다. 정부, 지자체 등의 정기적인 가맹계약 관련 실태 점검(21.2%),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16.0%)도 희망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프랜차이즈 사업은 시장에서 검증된 사업자와 신규 창업자 간 멘토-멘티와 같은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어 자발적 상생 문화의 정착이 중요하다"며 "정부 차원에서도 상생 우수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정기적인 가맹 계약 실태 점검 등 상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가맹본사는 구입강제품목 설정 이유 및 마진 등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면서 가맹점 사업자와의 거래 협의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가맹점 사업자 또한 협의한 내용을 성실히 이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kwo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