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비대위원장 "주4.5일제 도입 검토"
"유연근무 방해하는 주52시간 규제 폐지"
[파이낸셜뉴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주 4.5일제 도입 검토와 함께 업종과 직무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를 방해하는 주52시간 근로규제 폐지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의힘은 법정근로시간 40시간은 유지하되 유연근로제를 통해 실질적으로 주4.5일제 도입의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대선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 주장하는 주4일제 및 주4.5일제에 대해 권 위원장은 "근로시간 자체를 줄이되 받는 급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이라면서 "오히려 노동시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연근무 방해하는 주52시간 규제 폐지"
![]() |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화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주 4.5일제 도입 검토와 함께 업종과 직무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를 방해하는 주52시간 근로규제 폐지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의힘은 법정근로시간 40시간은 유지하되 유연근로제를 통해 실질적으로 주4.5일제 도입의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대선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 주장하는 주4일제 및 주4.5일제에 대해 권 위원장은 "근로시간 자체를 줄이되 받는 급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이라면서 "오히려 노동시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근로시간을 줄이게 되면 받는 급여도 줄어드는 것이 상식이란 비판에 대해 민주당이 설득력 있는 반박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주4.5일제의 예시로 울산 중구청 근무사례를 제시한 권 위원장은 "주40시간 근무시간을 유지하면서도 금요일 오후에 휴무를 가질 수 있도록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주4.5일제를 시범 실시 중"이라면서 "직원들은 월~목까지 하루 8시간 기본 근무시간 외 한 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한 뒤 퇴근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권 위원장은 "업무공백을 막고 시민에게 기존과 같은 서비스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정원의 25% 범위 내에서 모든 직원들이 순환 방식으로 제도를 이용하고 있다"면서 "총 근무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 없다. 이는 기존 주5일 근무제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제의 실질적인 워라밸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부연했다.
주52시간제 대안으로 유연근무제도 제시한 권 위원장은 "산업현장에선 일이 몰릴 때 집중적으로 일하고 반대로 일이 적을 때 충분히 쉴 수 있는 유연한 근무환경이 필요하다"면서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비롯 주52시간 규제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산업분야를 면밀히 분석해 실질적인 제도 개선방안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말?다.
주5일제와 주52시간 근로규제는 시대의 흐름과 산업의 다양성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 제도라고 지적한 권 위원장은 "유연근무제를 적극 활용해 산업별 직무별 생애주기별로 다양한 근무형태가 가능한 선진형 근로문화정책을 추진하겠다"면서 "노동시장에 새로운 역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김준혁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