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사 합산 순이익 추정치 1.2조…증권가선 상회·부합 예상
발행어음·IMA 확대로 기업금융 성장 기회 열려
![]() |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여의도 증권가. 2024.1.24/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
(서울=뉴스1) 강수련 기자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리스크로 주식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상대적으로 관세 영향에서 자유로운 증권업계는 올해 1분기 호실적이 거둘 전망이다.
특히 올해부터 적용되는 기업금융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증권업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미래 등 '빅5' 합산 순이익 전망 1조 2344억원…예상치 '상회·부합'
14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한국금융지주·삼성증권·NH투자증권·키움증권 등 주요 5개사의 1분기 합산 순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1조 2344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미래에셋증권은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컨센서스가 25.3%나 증가해 가장 뚜렷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한국금융지주 또한 5.7% 증가가 예상된다.
증권업계에서는 전반적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거나 이를 상회하는 성적을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올해 1분기 미래에셋증권·한국금융지주·삼성증권·NH투자증권의 합산 순이익이 1조 104억 원을 기록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 분기 대비 77%,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수치다.
신한투자증권도 미래에셋증권과 한국금융지주, 삼성증권의 순이익은 컨센서스를 상회하고 한국금융지주와 키움증권의 순이익은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추정했다.
1분기 실적 개선 배경으로는 △국내 증시 거래대금 증가에 따른 브로커리지 수익 증가 △기준금리 0.25%p 인하 등의 효과가 꼽힌다.
안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전보다 낮아진 금리와 국내 증시 거래대금 증가 등 우호적인 환경에 힘입어 증권사들은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면서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수익성 회복이 더딜 것으로 예상돼 향후 수익성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발행어음·IMA 확대는 기회…모험자본 25%는 리스크
![]() |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종합금융투자회사 CEO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4.9/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
지난 9일 금융위원회는 '증권업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하고, 발행어음과 종합투자계좌(IMA) 규제개선을 공개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올해 말부터 발행어음과 IMA 신규사업자가 등장할 전망이다. IMA란 고객 예탁자금으로 기업금융 관련 자산에 70% 이상 운용하고, 그 수익을 고객에게 배분한다.
제도 개선으로 만기 1년 이상인 상품을 70% 이상 구성하도록 하는 한편, 부동산 관련 자산 운용 한도는 10%로 즉시 축소한다.
발행어음과 마찬가지로 IMA 운용자산 25% 규모의 모험자본 공급의무도 적용, 단계적으로 상향한다. 또 운용보수의 25%를 운용자산의 5%가 될 때까지 손실충당금으로 적립해야 한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제도 개선으로 증권사들의 기업금융 부문 성장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커버리지 증권사 중 키움증권과 삼성증권이 발행어음, 미래에셋증권이 IMA 신규사업 수행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며 "발행어음 관련 예상 연수익은 삼성증권 1300억원, 키움증권 930억원"으로 추정했다.
이어 "북(book)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한 투자·융자가 가능해지면서 기업금융 부문의 수익 확대가 예상된다"고 했다.
다만 모험자본의 25%까지 확대한 것은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봤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제한은 있으나 새로운 조달 수단이 확보된다는 점과 모든 증권사가 아닌 일부 증권사만 할 수 있다는 것은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무조건 이득"이라면서도 "다만 모험자본이라는 영역이 애매하기도 하고 일정 비중을 일단 채우고 시작한다는 점에서 증권사에 부담"이라고 평가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모험자본의 공급량은 한정돼 있으며 A등급 회사채 등의 경우 규제 충족을 위해 비정상적인 수요가 집중될 가능성이 있어 수급 불균형에 따른 시장가격 왜곡이 우려된다"고 했다.
traini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