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이재명 추대 같은 경선… 비명계 후보 “중대 결심할 수도”

속보
신한금융, 1분기 순이익 1조4883억원…전년比 12.6%↑
민주당 경선룰 확정… 갈등 확산
더불어민주당이 6·3 대선 경선 규칙을 확정했지만, 경선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두관 전 의원 측은 “이재명 전 대표에게만 유리한 방식”이라며 반발했다. “경선이 아니라 ‘이재명 추대식’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두 후보 경선 캠프에선 “경선 들러리가 되느니 중대 결심을 할 수 있다”며 15일쯤으로 예정된 정식 후보 등록 전에 경선 출마를 포기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왔다.

조선일보

그래픽=김현국


민주당은 지난 12일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경선일로부터 1년 이전에 입당했고, 최근 1년 사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 110만명에게 50%에 해당하는 투표권을 준다. 여기에 다른 50%는 안심번호로 100만명을 추출해 2개 여론조사 업체가 50만명씩 여론조사를 진행해 합산하는 방식이다. 여론조사는 민주당 지지자와 무당층 응답만 집계하고, 국민의힘 등 다른 당 지지자 응답은 배제하게 된다.

조선일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지난 12일 경북 봉화의 부모 선영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이재명 전 대표 캠프 제공


이 같은 경선 규칙은 지난 세 번의 대선에서 민주당이 적용했던 ‘100% 국민 선거인단 투표’와는 큰 차이가 있다. 국민 선거인단 투표의 경우 대의원과 권리당원이 선거인단에 자동 포함되지만,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도 선거인단을 모집해 당원과 마찬가지로 ‘1인 1표’ 권한을 줬다. 후보 간에 더 많은 선거인단을 모으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진다. 민주당은 이 방식에 대해 “당원과 국민 모두에게 동등한 참여 기회를 보장해 ‘국민 후보’를 선출하는 것”이라고 해왔다. 반면 이번에 민주당이 선택한 방식은 권리당원에게 50% 투표권이 우선 배정되고, 따로 선거인단을 모집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국민은 경선 투표에 참여하고 싶어도 기회가 없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재명 전 대표에 대한 당원 지지세가 워낙 강해 당원 투표에선 이 전 대표에게 몰표가 갈 가능성이 크다”며 “비명계로 분류되는 다른 후보들은 득표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으니까 반발하는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대선 특별당규 준비위원회의 이춘석 위원장은 경선 규칙을 바꾼 이유에 대해 “당원 중심 정당으로 간다는 기본 원칙이 있고, 선거인단 모집은 나름의 장점이 있지만 상당한 시간이 필요해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일 서울 여의도에 개소한 선거캠프에서 열린 '오픈하우스' 행사에서 미국 방문에서 얻은 '관세외교' 성과와 선거운동 전략 등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민주당이 국민 선거인단 투표를 배제한 것을 두고, 선거인단 모집 때 특정 집단이 조직적으로 선거인단으로 등록한 뒤 다른 당 후보에게 유리한 후보에 투표하는 ‘역선택’ 우려가 반영됐다는 말도 나왔다. 이춘석 위원장도 “우리 당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이 오면 막을 방법이 뭐냐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비명계는 “이 전 대표 측의 입장만 고려한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경선에서 이낙연 전 대표와 맞붙었을 때 내내 앞섰지만 마지막 수도권 선거인단 투표에서는 이낙연 전 대표가 크게 앞서는 이변이 발생했다. 당시 친명계 안에서는 “특정 종교 집단이 조직적으로 인원을 동원해 이낙연에게 집중 투표했다”는 말이 돌았다. 그러지 않고는 이재명 전 대표가 지는 게 불가능했다는 주장이다.

조선일보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전 의원./연합뉴스


김동연 지사와 김두관 전 의원은 이번 경선 규칙 결정 과정에서 특별당규 준비위가 후보들의 의견을 묻지도, 반영하지도 않았다며 “일방적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김 지사는 기존의 국민 선거인단 투표를, 김 전 의원은 당원과 지지 정당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 국민 경선(오픈 프라이머리)을 선호하고 있다.


김 지사는 13일 기자간담회에서 “아름다운 경선을 바라고 희망했지만 들러리 경선, 의미 없는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서 대단히 유감”이라며 “민주당이 그동안 유지해왔던 전통과 많은 국민이 참여해야 한다는 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된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KBS 라디오에 출연해 “경선 룰을 정하는 과정이 비민주적이었다”고 했다. 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은 “민주당이 이재명 사당(私黨)이기 때문에 이렇게 하는 것 아니겠나”라고 했다. 비명계에서는 이재명 전 대표가 대표직을 사퇴한 날 이춘석 의원이 특별당규 준비위원장에 임명된 점을 들어 “이 전 대표가 임명한 것이나 다름없다. 처음부터 불공정했다”는 말도 나왔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경선 규칙 관련 질문에 “당의 결정을 따를 것”이라고 했다.

[박상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