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캐나다에 대한 관세 장벽을 높이면서 무역 갈등이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습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는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어야 한다"는 발언을 해 캐나다 국민의 반감을 키웠는데요.
캐나다에서는 미국 제품 불매운동이 번지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강한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이은경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달 27일, 피에르 폴리에브 캐나다 보수당 대표가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부과 조치에 반발하며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자동차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캐나다와 유럽연합(EU)에서 수입하는 자동차와 부품에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강경한 무역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는 트럼프의 조치를 강하게 비판하며 캐나다 정부와 국민이 단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피에르 폴리에브 / 보수당 대표 : 우리는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기업들이 이 분쟁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캐나다인으로서 단결하여 피해 업종을 보호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스스로 두 발로 서서 미국에 맞설 수 있도록 강한 자립을 해야 합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생활 필수품부터 자동차까지, 다양한 품목의 가격 상승이 예고되자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만잡 바스 /대학생·캐나다 서리시 : 트럼프가 자동차에 대한 관세도 발표했습니다. 그것은 저에게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왜냐하면 제가 차를 사고 싶어하면 관세가 부과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토비 스벨레이 / 직장인·캐나다 렝리시 : 우리는 최근에 차를 샀어요. 관세가 부과되면 차를 살 수 없을 수도 있고, 25%나 더 비쌀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계획보다 일찍 차를 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는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어야 한다"는 발언을 하며 사실상 캐나다의 자주권을 깎아내리는 태도를 보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캐나다에서 미국산 제품 불매 움직임까지 번지는 상황입니다.
[데이브 웨버 / 캐나다 밴쿠버시 : 가장 눈에 띄는 건 주류 매장의 선반이 바뀐 겁니다.]
일부 소비자들은 미국 기업이 운영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와 쇼핑 플랫폼까지 해지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무역 갈등이 길어질 조짐을 보이면서, 캐나다 정부의 대응과 시민들의 소비 양상 변화가 앞으로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캐나다 밴쿠버에서 YTN 월드 이은경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