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동물자유연대와 손잡아
국내 최초 반려동물 재난 구호소 운영
"대규모 재난 속 동물 보호 위해 노력"
LG유플러스가 동물자유연대와 손잡고 역대 최악의 산불로 피해를 입은 영남 지역에서 반려동물 구호활동을 펼쳐 36마리를 구조하고 국내 최초 반려동물 특화 구호소를 운영하는 등 성과를 냈다.
13일 LG유플러스와 동물자유연대에 따르면 양측은 3월 23일~4월 4일 산불이 발생한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영덕군·안동시 등에서 재난 상황 속 동물 구호 활동을 펼쳤다. 이들은 의성체육관 야외 공간에 약 66.1㎡(20평) 규모로 반려동물 특화 구호소를 만들고 동물을 보호했다. 아울러 각 지역에서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 36마리를 구조해 병원으로 이송했다.
현재 반려동물은 이재민을 위해 마련된 임시 대피소에 출입할 수 없고 재난 속 별도의 반려동물 돌봄 시설도 마련하기 어려운 실정이라 대규모 재난 속 반려동물 보호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 때문에 LG유플러스와 동물자유연대는 지난해 대구자원봉사센터, 강릉자원봉사센터, 연암대 반려동물학과, 국제구호단체 더프라미스 등과 반려동물 특화 구호소 운영 협의체를 꾸리고 재난 시 구호 활동을 준비했는데 실제 돌봄 활동이 진행된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국내 최초 반려동물 재난 구호소 운영
"대규모 재난 속 동물 보호 위해 노력"
![]() |
LG유플러스와 동물자유연대는 3월 말 발생한 영남 지역의 대형 산불 당시 경북 의성군 의성체육관 근처에 국내 최초 반려동물 특화 구호소를 설치해 운영했다. LG유플러스 제공 |
LG유플러스가 동물자유연대와 손잡고 역대 최악의 산불로 피해를 입은 영남 지역에서 반려동물 구호활동을 펼쳐 36마리를 구조하고 국내 최초 반려동물 특화 구호소를 운영하는 등 성과를 냈다.
13일 LG유플러스와 동물자유연대에 따르면 양측은 3월 23일~4월 4일 산불이 발생한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영덕군·안동시 등에서 재난 상황 속 동물 구호 활동을 펼쳤다. 이들은 의성체육관 야외 공간에 약 66.1㎡(20평) 규모로 반려동물 특화 구호소를 만들고 동물을 보호했다. 아울러 각 지역에서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 36마리를 구조해 병원으로 이송했다.
현재 반려동물은 이재민을 위해 마련된 임시 대피소에 출입할 수 없고 재난 속 별도의 반려동물 돌봄 시설도 마련하기 어려운 실정이라 대규모 재난 속 반려동물 보호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 때문에 LG유플러스와 동물자유연대는 지난해 대구자원봉사센터, 강릉자원봉사센터, 연암대 반려동물학과, 국제구호단체 더프라미스 등과 반려동물 특화 구호소 운영 협의체를 꾸리고 재난 시 구호 활동을 준비했는데 실제 돌봄 활동이 진행된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연관기사
• 산불에도 대피소 못 가는 반려동물···고성 산불 이후 6년 허송세월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3116540002927)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3116540002927)
• 산불·태풍으로 피해 입은 개·고양이 대피소, LG유플러스가 만든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82316400001554)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82316400001554)
협의체는 재난 시 반려동물 구호를 확대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가벼운 부상은 특화 구호소에서 치료할 수 있도록 활동가들에게 동물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실내에서도 동물 구호소를 운영할 수 있게 각 지방자치단체와 더 적극적으로 협조하기로 했다.
이명섭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반려동물도 이재민들에게는 가족인 만큼 대피 시 반려동물도 필요한 돌봄과 보호를 받을 수 있게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반려동물을 위한 대피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이재민들이 함께 대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재난 상황 속 동물도 인간처럼 보호받아야 할 생명인 만큼 더 많은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