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中에 200억 달러 페널티 '생큐 트럼프'…K배터리, 中 빈자리 꿰차나

속보
1분기 경제성장률 -0.2%…3분기 만에 다시 '역성장'

무역분쟁에 145% 고율 관세 "한국 업체들에 기회"

'中 주도' 美 ESS 시장 공략…"공급망 탈 중국화 계속"



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 2025.04.11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미국 트럼프 정부가 중국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모처럼 웃고 있다. 중국 업계가 부담할 관세가 200억 달러가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반사 이익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화석연료 부흥을 선언한 트럼프 정부 출범에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부진) 장기화를 걱정해 왔다. 트럼프 리스크에 신음하던 국내 업체들이 대중 고율 관세에 힘입어 실적 개선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中, 지난해 美수출 153억 달러…관세만 222억

13일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정부는 중국 당국과 무역 전쟁을 벌이며 지금까지 중국에 총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 2일 각국에 10~49%의 상호 관세를 발표하면서 중국엔 34%의 관세율을 책정한 바 있다. 하지만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놓자 미 정부는 중국에 대한 두 차례 관세를 끌어올리며 대중 관세를 125%까지 올렸다.

또한 지난 2월엔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펜타닐(마약) 원료를 문제 삼아 중국에 20%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백악관은 10일(현지 시간) 이를 포함해 대중 관세가 145%라고 확인했다.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가 현실화할 경우 국내 배터리 업계가 반사 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오익환 SNE리서치 부사장은 지난 10일 '8회 차세대 배터리 콘퍼런스에서 "중국산 배터리셀 고율 관세로 중국산을 대체하려는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국내 배터리 업체들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각종 외신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미국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총 153억 달러(약 22조 원) 정도 수출했다. 올해에도 비슷한 규모로 수출할 경우 단순 계산으로 중국 업계는 미국 수출 시 222억 달러(약 32조 원)가량의 관세를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특히 에너지저장장치(ESS)의 경우 중국의 북미 시장 점유율이 87%에 달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북미 ESS 배터리 수요 78기가와트시(GWh) 가운데 68GWh가 중국산 배터리였다. 가성비가 높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전기차보다 더 높기 때문이다.

뉴스1

LG에너지솔루션 미국 애리조나주 배터리 생산 공장 조감도 자료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배터리, '美 현지 생산' '中 공급망 탈피' 가속화

국내 배터리 업계 입장에선 미국의 ESS 시장을 공략할 절호의 기회란 평가다. ESS는 전기차 캐즘으로 보릿고개를 넘고 있는 국내 배터리 업계가 실적 반등의 기회로 삼는 분야이기도 하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 삼성SDI(006400), SK온 등 배터리 3사는 모두 미국 현지 ESS 생산을 통한 현지 진출을 검토하거나 진행하고 있다.

다만 대중 고율 관세로 인한 리스크도 있다.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각종 광물이나 소재에 관세가 부과되면 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업체들은 배터리 공급망의 탈중국화에 보다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업체로부터 조달하던 배터리 분리막을 최근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로부터 공급받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대중 관세에 대해 "원재료 수급은 단기적으로 어려울 수 있지만 공급망 다변화를 워낙 오래전부터 해오고 있어서 영향이 크진 않을 것"이라며 "중국을 견제한다는 측면에선 국내 업계에 유리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1096page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