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두관 전 의원 [사진 =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비명계(비이재명계) 대선 주자들이 12일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당원 50%, 일반여론조사 50%’로 당 대선 후보를 선출하겠다고 잠정 결론 내리자 반발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며 “김동연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특별당규위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당원 토론회와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당원 50%, 일반여론조사 50%’의 경선룰을 잠정 확정했다.
김 지사 측은 “노무현 대통령이 선출되던 16대 대선 경선 때부터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됐던 지난 20대 대선 경선 때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며 “이번 결정은 이런 민주당 경선의 역사와 원칙을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국민선거인단을 처음 시작한 이유는 당원이 아니더라도 국민이 직접 후보를 선출해 중도성과 대표성을 부여해 본선에서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며 “국민경선을 포기하는 것은 국민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누가 더 유리하겠다’라는 것이 뻔히 보이는 룰은 공정한 룰이 아니다. 민주당 대선 후보는 공정한 경선 룰을 통해 선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 측은 “당규준비위는 이번 대선특별당규 경선 방식을 재고하라”며 이재명 전 대표를 향해서는 “국민선거인단 경선을 없애는 것에 대한 후보님의 입장을 밝혀달라”고 촉구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강하게 반발했다. 김 전 의원 측은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룰에 대한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 경선룰 확정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며 “취재 기자들이 ‘당에서 후보 측과 논의했다고 한다’, ‘논의할 것이라고 한다’는 질문을 하는 데 모두 다 거짓이다. 논의하고 협의한 것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전 의원 측은 “민주당이 다양성과 민주성, 역동성을 살려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아쉽게도 당의 모습은 180도 정반대로 가고 있다”며 “유연성을 실종됐고 바늘구멍 하나 들어가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되어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했던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 가서는 절대 안 된다”며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에 숙고를 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