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예고했던 대선 출마 선언날을 하루 앞두고 12일 전격적 불출마 선언을 했다. 앞서 오 시장 측은 시정 트레이드마크였던 '약자동행' 정책을 상징하는 곳에서 출마를 선언하겠다고 지난 9일 밝히며 대권 의사를 드러내왔다. 사흘 만에 입장이 바뀐 데에는 좀처럼 오르지 않는 지지율과 최근 당내에서 일고 있는 ‘한덕수 추대론’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시 성장이다’ 출간에 대선 출마 예고
오 시장 측은 12일 오전 언론 공지를 통해 두 시간 뒤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했고, 오 시장은 제21대 대선 불출마를 밝혔다. 그는 "정치인에게 추진력은 물론 중요한 덕목이지만, 멈춰야 할 때는 멈추는 용기도 필요하다"며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해 백의종군으로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당이 배출한 대통령의 탄핵에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참담함과 무한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우리 당 누구도 윤석열 정부 실패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고개를 숙였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에서 커지는 ‘한덕수 대망론’
오 시장은 이날 한 대행의 출마론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대통령으로서의 역할을 하겠다는 분은 본인의 의지와 결단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한 대행 스스로의 결단·의지로 임해주실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 이후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우리 당이 대선 국면에 진입해서 너도나도 대선 후보가 되겠다고 나서는 분위기가 과연 국민 눈에 어떻게 비치겠는가"라며 "지난 일주일간 당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참으로 깊은 아쉬움과 염려를 지울 수 없었다"고 했다.
━
‘토허제 헛발질’에 민주당이 불붙이는 ‘명태균 의혹’
더불어민주당이 오세훈·홍준표 등 국민의힘 유력 대선주자들을 겨냥해 명태균 의혹을 밀어붙이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지난 6일 "내란 참여자들을 처벌해야 다시는 헌정질서에 도전하는 일이 없어질 것"이라며 "명태균 특검법을 따박따박 진행하는 게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관련 의혹을 철저히 부인해왔지만 지난달 검찰에 서울시장 공관과 시청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 당하며 부정적 인식을 주게 됐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명은 지지율 37% 치솟는데 오세훈 2% 그쳐
반면 국민의힘 주자 지지율을 다 합해도 이 전 대표에 미치지 못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9%, 홍준표 대구시장 5%,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4%를 보였고, 오세훈 서울시장,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각각 2%를 기록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도 조사 결과에 처음 이름을 올렸는데 2%를 기록했다. 국민의힘은 당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1차 경선에서 100% 국민 여론조사를 통해 후보를 4명 압축키로 했다. 현 추세대로라면 오 시장의 1차 컷오프 통과가 확실치 않은 모습이다.
━
국민의힘 경선 구도 출렁···吳 지지율 흡수 후보 주목
당내 주자들 사이에선 "'성장'과 더불어 '약자와의 동행'을 기치로 내건 오 시장의 소명 의식에 적극 동의"(김문수) "'다시 성장이다'와 '약자와의 동행'이라는 화두는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향후 국정 운영에 반영"(홍준표), "약자와의 동행이라는 가치는 당의 재건을 위해 꼭 필요한 핵심 가치"(안철수) “오 시장님과는 서울의 오늘, 그리고 대한민국의 내일을 위해 많은 고민과 비전을 나눠와”(나경원) 등 오 시장을 향한 러브콜이 빗발쳤다. 오 시장과 함께 중도 확장성 후보로 꼽혀온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유승민 전 의원, 안철수 의원이 수혜를 받을 거란 관측도 나온다. 이 전 대표에게 반감을 가진 중도층이 전략적 선택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吳,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시장 임기
강도림 기자 dorimi@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