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연합뉴스TV 언론사 이미지

[알아BIO] 트럼프 "의약품 관세 곧 발표"…약될까 독될까

연합뉴스TV 문형민
원문보기
서울맑음 / 12.1 °
※ [문형민의 알아BIO]는 제약·바이오·의료 이슈를 취재해 쉽게 설명하는 연재 기사입니다.

연합뉴스TV

[UPI=연합뉴스]



전 세계 경제를 들었다 놓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각국의 경제는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무역 상대에 '최악의 침해국'이라는 발언까지 하며 '상호관세' 폭탄을 떨어뜨렸죠.

하지만 이를 시행한 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중국을 제외한 나라들에는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산업계 표정 역시 시시각각 바뀌고 있습니다. 울상이었던 국내 기업들은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습니다.

다만, 이미 시행 중인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 25%’는 그대로 유지 시행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차례 "조만간 품목별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언급했던 반도체와 의약품도 관세 위협의 영향권 안에 있습니다.


특히 제약 제품은 오랫동안 무역 전쟁에서 제외돼 온 만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그야말로 ‘초긴장’ 상태입니다.

이번 [문형민의 알아BIO]에서는 미국의 의약품 관세 예고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연합뉴스TV

[윤해리 제작] 일러스트



◇ 트럼프 "수입 의약품에 대한 관세 곧 발표할 것"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관세 타깃은 의약품입니다.


미 현지시간 8일,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DC에서 열린 전국 공화당 의회 위원회 행사에서 “곧 의약품 수입에 대한 '주요'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는데요.

그러면서 "관세가 제약회사들이 중국을 떠나 미국으로 사업을 이전하도록 장려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업계는 미국이 6개월 뒤 5%, 1년 뒤 10% 등 단계적 관세를 의약품에 적용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관세를 부과한 사례가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단계적으로 적용할지, 일괄적으로 적용할지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또 관세가 부과될 의약품의 범위가 원료 의약품인지, 완제 의약품인지도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일부에서는 수입 비중이 높은 국가별로 관세율을 차등 적용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상호관세처럼 중국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미국이 '중국 바이오산업 규제' 정책을 추진하는 등 중국 의약품을 견제하고 있어섭니다.

연합뉴스TV

[장현경,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 미국의 중국 바이오 때리기…국내 기업 반사이익?

최근 미국 의회 산하 신흥 바이오기술 국가안보위원회(NSCEB)는 ‘중국 기업들과의 거래를 제한해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NSCEB는 중국이 희토류와 같이 바이오 기술을 무기화하거나 수출을 제한할 경우 미국의 보건, 안보, 경제에 직접적 위협이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권고와 관련해 미 하원은 앞서 지난해 중국 바이오 기업들을 안보 위협으로 규정해 제재하는 생물 보안법을 통과시킨 바 있습니다.

미국에서 중국산 의약품·원료의약품에 대한 의존도 탈피의 필요성이 제시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제품들이 반사이익을 볼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의 사업 길이 막히거나 중국 원료의약품 제조사들이 밀려 나가면 그 빈자리를 다른 국가 기업이 메울 수 있다는 이유에섭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미국의 새 공급처로 부상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따라 미국 현지 생산시설을 갖춘 기업들이 잠재적 수혜 기업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국내 CDMO 기업 중 미국 현지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롯데바이오로직스, SK팜테코, 차바이오텍(마티카바이오) 등이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연합뉴스 제공]



◇ 기대감보다 큰 관세의 그림자…"정부 적극 개입해야"

이렇게 일부 수혜가 예상된다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란 목소리가 거셉니다.

트럼프가 의약품 관세에 대해 “우리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수준으로 시작될 것”이라고 겁을 준만큼, 반사이익 기대감보다 관세의 그림자가 더 크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만약 의약품에 매기는 관세율에 변화가 없다고 해도, 미국의 전방위적 관세 정책이 한국 바이오 기업의 자금 조달을 어렵게 하는 ‘나비효과’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미국 의약품 시장은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이라는 점에서 기업들은 더욱 노심초사 할 수밖에 없는데요.

지난해 국산 의약품의 미국 수출액은 15억 달러(약 2조2천억원) 규모로, 전년(10억 달러)보다 50% 늘었습니다. 수출 비중은 전체에서 1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기업은 미국 내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수준의 재고를 확보해 단기적인 관세 영향에 대비하거나, 미국 내 생산기지 확보도 검토 중입니다.

업계에선 의약품에 대한 관세 압박이 장기화될 경우에 대비해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미국 정부와의 직접 교섭은 기업 차원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통상 전략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우리나라가 이 문제를 산업적 관점에 가둬두지 말고 외교통상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해 충격파를 사전적으로 줄이려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습니다.

#제약바이오 #의약품 #미국 #트럼프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