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 첫 행보로 청년과 전태일 기념관
“전태일 열사 분신이 노동운동 시작한 계기“
“진정한 노동정신, 이념투쟁 아닌 희생정신
“어려운 사람 잘 아는 후보 나 밖에 없어”
“전태일 열사 분신이 노동운동 시작한 계기“
“진정한 노동정신, 이념투쟁 아닌 희생정신
“어려운 사람 잘 아는 후보 나 밖에 없어”
[이데일리 박민 기자] 범보수 대선 후보 지지도 1위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출마 선언 이후 첫 행선지로 한국 노동계를 상징하는 ‘전태일 기념관’을 찾았다. 전태일 기념관은 지난 1970년 ‘근로기준법을 준수’를 외치며 분신했던 한국 노동운동사의 한 획을 그은 고 전태일 열사의 뜻을 기리기 위해 설립한 곳이다. 이곳을 대선 주자 첫 행선지로 택한 것은 ‘탄핵 반대’ 등 강경보수 발언을 해온 김 전 장관이 중도 확장성을 염두해 자신의 출신이 ‘노동계’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10일 김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청계천변에 위치한 전태일 기념관을 청년들과 함께 찾아 시설을 둘러보고 자신이 노동운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 등을 소개했다. 그는 “전태일 정신은 자본가 타도가 아닌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희생정신”이라며 “제가 노동운동을 시작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전태일 분신”이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노동계의 상징적 인물로 평가받는 김 전 장관은 1951년생으로 경북 영천 출신이다. 경북고 졸업 뒤 1970년 서울대 경영학과에 입학했고, 군부 독재 시절이있던 당시 민주화 운동과 노동운동에 투신했다. 이로 인해 1971년과 1974년 두 차례 제적을 당하기도 했고, 실형을 선고받고 복역하기도 했다. 이에 대학 졸업장은 민주화 이후인 1994년에야 받을 수 있었다.
![]() |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계천로 전태일기념관을 찾아 청년들과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일 김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청계천변에 위치한 전태일 기념관을 청년들과 함께 찾아 시설을 둘러보고 자신이 노동운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 등을 소개했다. 그는 “전태일 정신은 자본가 타도가 아닌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희생정신”이라며 “제가 노동운동을 시작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전태일 분신”이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노동계의 상징적 인물로 평가받는 김 전 장관은 1951년생으로 경북 영천 출신이다. 경북고 졸업 뒤 1970년 서울대 경영학과에 입학했고, 군부 독재 시절이있던 당시 민주화 운동과 노동운동에 투신했다. 이로 인해 1971년과 1974년 두 차례 제적을 당하기도 했고, 실형을 선고받고 복역하기도 했다. 이에 대학 졸업장은 민주화 이후인 1994년에야 받을 수 있었다.
다만 그는 민주화 이후에는 보수 정치인으로서 드라마틱한 변화의 길을 걷었다. 보수 정당 소속으로 15~17대 국회의원(부천소사)과 32, 33대 경기지사를 지냈다. 2014년 경기지사 임기를 마친 뒤엔 총선, 서울시장 선거 등에서 거듭 낙선하며 야인 생활을 하다가 윤석열 정부에서 장관급 직책인 경사노위 위원장을 거쳐 고용노동부 장관에 오른 바 있다.
김 전 장관은 노동계 출신임에도 노동개혁 등 각종 극우적 발언과 정치적 행보로 진보 진영에서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실제로 전날 대선 출마를 선언하자 본인이 몸담았던 노동계가 가장 먼저 출마를 반대하는 입장문을 내기도 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전날 “김문수는 위헌적인 윤석열 비상계엄에 대해 옹호하고 탄핵에 반대한 자이며, 특히 반노동 인사”라며 “대통령 후보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김 전 장관은 이러한 반발을 의식한 듯 이날 ‘노동 정신은 약자를 위해 일하고 보살피는 것’이라며 고 전태열 열사의 정신을 강조했다. 그는 “현대자동차 등 연봉이 1억원이 넘는 노동조합이 이념 투쟁을 하고 하청노동자 안 돌보는 건 전태일 정신과 다르다”며 “나보다 더 어려운 사람을 항상 걱정하고 그 어려운 사람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희생정신이 전태일 정신”이라고 설파했다.
![]() |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계천로 전태일기념관을 찾아 청년들과 전시관을 둘러본 뒤 취재진의 질의에 딥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전 장관은 이날 행사를 마친 이후 기자들고 만나 대선 주자 첫 행보로 전태일 기념관을 택한 데 대해 “제가 노동운동을 시작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전태일 분신”이라며 “(전태일 열사) 어머니와 가족들을 개인적으로 오랜 세월 동안 같이 만나고 있다. 중도 확장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니다”고 일축했다.
특히 ‘중도층 확장성 한계’ 지적에 대해서는 “저보다 더 밑바닥, 가장 어려운 노동자층과 영세 서민들, 농민들, 지역적으로는 소외돼 있는 호남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은 후보 중에 없다고 생각한다”며 “저는 처가 자체가 호남이고 제 자신이 노동의 삶을 살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날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1차 경선에서 여론조사 100%를 적용하는 경선 규칙을 확정한 것을 놓고 “룰(규칙) 대로 따라야 한다”면서 “저는 후보인데, 선수가 룰이 어떤지 말하고 하는 건 조금 그렇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