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국가 산불재난대응체계 혁신을 위한 긴급세미나
초대형 산불, 국방역량까지 포함한 총력대응 체계로
AI·위성·무인기 기반으로 정보역량 획기적 강화 필요
초대형 산불, 국방역량까지 포함한 총력대응 체계로
AI·위성·무인기 기반으로 정보역량 획기적 강화 필요
![]() |
유용원 의원 |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후위기 시대, 산불은 더 이상 계절성 재난이 아니다. 대형화·장기화되는 산불 양상은 상시적 국가위기 상황으로 진입하고 있다. 최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은 3만 헥타르 이상의 산림을 태우고, 인명과 문화자산까지 위협하며 국가 전체에 경각심을 안겼다. 특히 진화 과정 중 헬기 추락 사고로 조종사가 순직하는 비극적인 사고까지 발생하면서, 현장 대응의 한계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단순한 장비 부족을 넘어, 국가 산불 대응 체계 전반에 대한 구조적 재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국민의힘 유용원의원은 정희용의원과 공동주최로 10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국가 산불재난대응체계 혁신을 위한 긴급세미나’ 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공중진화 수단의 기술적 보완은 물론, 감시체계의 고도화, 인력운영 방식의 전환, 제도적 기반 정비 등 국가 산불 대응 전략 전반을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향을 모색한다.
반복되는 대형 산불에서 초기 진화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가운데, 현재 공중진화 수단의 한계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헬기의 제한된 담수량, 강풍·연무·안개 등 기상 조건에 따른 이착륙 지연, 지휘체계의 단절, 실시간 정보 공유의 미흡 등이 겹치며, 초기 대응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군 수송기(C-130·C-390)에 MAFFS(Modular Airborne Fire Fighting System)·RADS(Retardant Aerial Delivery System)를 장착해 고정익 기반의 대형 진화체계를 운용하거나, 퇴역 헬기(CH-47D)를 개조해 대용량 진화 자산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이 논의된다.
또한 감시 및 정보 대응력 강화를 위한 첨단기술 적용도 중요한 과제다. AI 기반 열화상 드론, 고고도 무인기(UAV), 산불상황도 자동 생성 시스템 등은 기상 상황이나 야간 시간대에도 실시간 정보를 확보하고 최적 자원 배치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되며, 위성 기반 산불 모니터링 시스템과 함께 기존 감시망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역할에 대해서도 다뤄진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유무인 복합 항공체계를 중심으로 한 방안도 함께 제시된다. 고정익 항공기, 회전익 헬기, 대형 무인헬기 등 다양한 운용 방식의 조합은 최근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우리나라 지형과 작전환경에 적합한 적용 방향도 함께 논의될 예정이다.
기술과 장비 못지않게, 현장 인력의 운영 방식에 대한 개선도 중요한 과제로 제기된다. 산불 진화대원들이 장기간 현장을 지켜온 헌신을 존중하면서, 상시 전담 조직화, 체계적 훈련 시스템 정비, 고용 안정성 확보 등을 통해 보다 지속가능한 인력 운영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산불이 여러 지자체로 확산되는 특성상, 중앙정부 중심의 통합 지휘체계 정비, 감항 인증 제도의 개선, 관계기관 간 정보 연계 및 역할 조정 등 제도적 기반의 정비도 함께 병행돼야 한다. 특히 산림청, 소방청, 국방부 등 다양한 기관이 동시에 관여하는 현장 상황에서 지휘체계의 일원화는 실질적인 대응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평가된다.
유용원 의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산불 예방과 초동 진화 강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해온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의 대응 방식도 임시방편을 넘어서 구조적인 혁신으로 전환되어야 할 때”라며, “이번 산불은 기존 대응체계의 작동 방식과 지휘·정보·운용 시스템 전반에 대한 근본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사실, 그리고 그 한계를 냉정히 직시하고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임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오늘 세미나에서는 초대형 산불에 대응할 실질적인 공중진화 전력의 방향은 물론, 고정익·무인기 기반 진화 자산, AI 감시체계 등 차세대 기술 기반의 해법과 정책 개선 방안이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용원 의원은 “오늘 세미나가 민·관·군이 힘을 모아 산불 대응 전략을 전면 재정비하는 일대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더는 초대형 산불이 예고된 재난으로 반복되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과 현장 중심의 정책 마련에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