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의장의 개헌 제안에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내란 종식이 먼저라면서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
국민의힘에선 대통령직에 가장 가까운 인물이, 개헌엔 소극적이란 쓴소리가 나왔습니다.
김지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대선일에 맞춰 개헌 국민투표를 하자는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사실상 거부의사를 밝혔습니다.
개헌 필요성엔 공감하지만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는 겁니다.
대신 우선 순위를 두고 대선 전에 가능한 개헌을 콕 집어 말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5·18 정신, 그리고 계엄 요건 강화 정도는 국민투표법이 개정이 돼서 현실적으로 개헌이 가능하다면 곧바로 처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통령 4년 중임제 같은 권력구조 개편은 국론 분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대선 후로 미루자는 겁니다.
조국혁신당 역시 "내란종식이 먼저"라면서 "개헌 국민투표는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실시하는 게 현실적"이라고 밝혔습니다.
비명계에선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내란 종식이 먼저라는 데 동의한다며 이재명 대표의 제안은 개헌 추진 가능성을 열어둔 의미있는 발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표가 개헌에 미온적이라며 공세를 폈습니다.
"대통령직에 가장 근접한 사람이 개헌을 거부한다", "제왕적 대통령제뿐 아니라 제왕적 국회를 견제하자"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1987년 개헌 당시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제왕적 국회의 출현입니다. 대통령의 권한만큼이나 국회의 권한도 균형 있게 조정해야 합니다."
국민의힘에서는 한동훈 전 대표가 임기를 3년으로 줄이겠다며 가장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고, 안철수 의원은 대통령과 국회 권한을 축소하는 개헌을 내년 지방선거에서 하자는 입장입니다.
여야 지도부는 물론 대선주자들까지 모두 개헌을 이야기하지만 그 내용과 방식은 서로 딴 판인 셈입니다.
우 의장은 "정당 간 합의한 만큼만 개헌하면 된다"는 입장이지만, 두 달도 남지 않은 대선일까지 정치권에서 일치된 결과물을 내놓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MBC뉴스 김지인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지인 기자(zi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