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일본·증화권도 줄줄이 대폭락…아시아 증시 '관세 패닉'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지난주 후반 미국 증시가 폭락한 여파는 이렇게 우리뿐 아니라 아시아 증시까지 흔들어놨습니다. 일본 주식 시장을 대표하는 닛케이 지수가 7% 넘게 빠졌고, 중국과 홍콩, 타이완 증시 역시 주저앉았습니다.

계속해서 도쿄 박상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오늘(7일) 일본 증시는 지난 주말 대비 7.83% 폭락한 3만 1천136엔에 장을 마쳤습니다.

아침부터 하락세로 출발해 오전 9시 반쯤 3만 1천 엔대가 무너지기도 했는데, 닛케이지수가 3만 1천 엔 선 밑으로 떨어진 건 2023년 10월 이후 1년 5개월 만입니다.

[NTV뉴스 : 주가가 2천900엔 이상 떨어졌는데 하락 폭이 역대 3번째로 큽니다.]

이시바 총리는 이번 사태를 '국난'으로 표현하며 트럼프 미 대통령을 직접 만나 교섭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전화회담부터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시바/일본 총리 : 일본에게 국난이라고 할 정도의 사태입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과 회담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것입니다.]

미국으로부터 32%의 관세를 부과받은 타이완의 주가는 약 10% 급락했고, 홍콩의 항셍지수 13%, 중국 상하이지수도 7% 넘게 떨어지는 등 중화권 증시도 폭락했습니다.

미국의 관세조치에 전방위 맞불 관세로 붙은 중국은 미국이 사리사욕을 위해 패권을 행사한다며 각국에 공동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미국의 관세조치는) 다자 무역체제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세계 경제 회복에 큰 충격을 주어 반드시 국제사회의 보편적 반대에 직면할 것입니다.]

중국 국영 투자 펀드는 본토 주식 매입 확대 사실을 공개하며 주가 방어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관영매체도 '미국의 관세 충격에 하늘이 무너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예상된 압박에, 지급준비율과 금리 인하 등 대응책도 충분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세계 1, 2위 경제대국이 초고율 관세로 치킨게임을 벌이면서 당분간 세계 증시의 혼란이 불가피할 거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영상취재 : 한철민·문현진, 영상편집 : 김종미)

박상진 기자 njin@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