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종로구 경복궁이 중국을 비롯한 외국인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 2025.3.21/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한복판에서 시위가 있다는 걸 알고는 ‘어떤 모습일까’ 기대했어요. 생각보다 많은 경찰에 놀랐지만, 신나는 노래들이 나와서 오히려 즐겁네요.”
4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인근에서 만난 미국인 관광객 브라이언 씨(51)는 집회 현장을 연신 휴대전화로 촬영하며 이렇게 말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지난 4개월간 도심에서의 대규모 집회는 일상이었다. 이러한 계엄-탄핵 국면에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해외여행객 입국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탄핵 찬성·반대 집회가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다크투어리즘’(역사적 장소나 재해 현장 등을 둘러보는 여행)’의 대상이 됐다고 분석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공유된 ‘K-민주주의’가 외국인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환율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그러면서도 전문가들은 “계엄, 탄핵으로 추락한 국가 이미지를 캠페인 등을 통해 회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지난해 동기간 대비 해외여행객 약 19% 증가
7일 관광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 2월 해외여행객 입국자 수는 113만8408명으로, 전년 동월(103만244명) 대비 10.5%(10만8164명) 늘어났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구속됐던 1월에는 111만7243명의 해외여행객이 한국에 입국했다. 이는 지난해 1월(88만881명)보다 23만6362명 늘어난 수치다.
계엄 사태가 발생했던 지난해 12월(127만863명)도 2023년 12월(103만6625명)보다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증가세는 12월에서 2월까지의 기간으로 비교했을 때 이번 계엄 국면에서 지난해 동기 대비 약 19%의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한 셈이다. 이러한 수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8, 2019년 동기간 관광객 수와 유사한 수치다.
국가가 혼란스러운 와중에도 해외여행객이 늘어난 배경에는 ‘다크투어리즘’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크투어리즘이란 재난 등 역사적 비극이 발생한 현장을 방문하는 관광으로 ‘역사 교훈 여행’이라고도 한다. 실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이 있던 4일 안국역 일대에는 집회 현장을 카메라로 찍거나 손에 피켓을 든 외국인들을 볼 수 있었다. 일본인 관광객 카나미 씨(26)는 “대통령 때문에 나라가 정신없다는 얘길 들었지만 한번 와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여행가이드 중에는 집회 현장을 관광 코스로 홍보하는 이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동화면세점~코리아나호텔 앞 편도 전 차로에서 사랑제일교회의 전국 주일 연합 예배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시티투어 버스에 탑승한 관광객이 예배 광경을 촬영하고 있다. 2025.04.06. [서울=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민주주의’ 관심…원화 가치 떨어진 영향도
전문가들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SNS를 통해 공유되는 집회 현장을 보고 ‘한국이 안전하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고 봤다. 김남조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는 “안전하고 평화로운 ‘K-민주주의’에 외국인들의 관심이 높아졌다”며 “오히려 축제 같은 집회 등이 SNS로 공유되며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해외 SNS상에는 한국의 집회 문화를 ‘축제 같다’며 흥미로워하는 반응이 다수 발견되기도 했다.
이외에도 원-달러 환율 상승이 관광객 유입을 이끌었다는 분석도 나왔다. 정치적 혼란으로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정욱 모두의관광연구소 공동대표는 “원-달러 환율이 높아지면서 서울 체류 비용과 관광 상품 가격이 저렴해진 게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계엄 사태 전인 지난해 10월 말 1300원대였던 원-달러 환율은 이달 1470원대까지 치솟았다.
●전문가 “국가 이미지 제고에 힘써야”
전문가들은 비록 해외여행객 입국이 늘었더라도 계엄-탄핵으로 인해 추락한 국가 이미지 회복에 더 힘써야 한다고 입 모았다. 정란수 한양대 관광학부 겸임교수는 “국가기관에서 외국인에 대한 혐오 정서를 일으키는 가짜뉴스를 적극적으로 규제해야 한다”며 “외국인 관광객 유치가 우리나라 경제나 관광 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려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수연 기자 lotus@donga.com
임재혁 기자 heok@donga.com
최효정 기자 hyoehyoe22@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