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더팩트 언론사 이미지

[TF인터뷰] 문소리, '폭싹 속았수다' 시작과 끝

더팩트
원문보기
서울맑음 / 14.6 °

문소리로 시작해 문소리르 끝이 나는 용두용미 '폭싹 속았수다'
장년 애순부터 노년의 모습까지…다채로운 열연


더팩트

배우 문소리가 <더팩트>와 만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 관련 인터뷰를 진행했다. /넷플릭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김샛별 기자] 배우 문소리의 '연기'인 줄 알았다. 정작 문소리는 실제 자신을 아는 가족과 지인들은 문소리의 모습과 맞닿아 있다고 했단다. 문소리 역시 수많은 '애순' 중 한 명이었기 때문에 완성될 수 있었던 '폭싹 속았수다' 애순의 여정이었다. 문소리는 그렇게 애순으로 물든 채 시작과 끝을 담당했다.

문소리는 최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더팩트>와 만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극본 임상춘, 연출 김원석) 관련 인터뷰를 진행했다. 극 중 애순의 중·장년 시절을 맡은 그는 작품과 캐릭터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전했다.

지난달 7일 첫 공개돼 28일 16부를 끝으로 막을 내린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에서 태어난 '요망진 반항아' 애순(아이유, 문소리 분)과 '팔불출 무쇠' 관식이(박보검, 박해준 분)의 모험 가득한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시리즈다.

작품은 제주에서 함께 나고 자랐지만 하나부터 열까지 다른 애순과 관식, 그들의 순수했던 10대 시절과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었던 청년 시절, 인생이 던진 숙제와 맞부딪히며 세월을 겪어 낸 중장년 시절까지 파란만장했던 일생을 다채롭게 그리며 호평을 얻었다.

평소 반응을 찾아보지 않는다는 문소리도 남편 장준환 감독은 물론이고 가족들 덕분에 시청자들의 호평을 느끼고 있단다. 그는 "남편이 자꾸 해외 반응을 찾아보면서 내게도 보내준다. 남편은 여러 나라에서 좋은 반응이 있는 게 재밌는 것 같다"며 "가족들도 좋아해 주고 연락이 뜸했던 사람들끼지 연락이 왔다. 단순히 '잘 봤어'가 아니라 자신들의 이야기까지 전해주니 '참, 이 작품이 여러 사람들 마음 속에 깊숙하게 들어갔구나'라는 걸 알게 돼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문소리는 '폭싹 속았수다'의 대본을 받았을 때부터 충분히 기대할 만한 프로젝트였다고 돌이켰다. 그는 "읽고 나서 계속 울었다. 이 정도 울었으면 그냥 해야 되는 거 아닌가 싶었다"며 "애순이가 아닌 다른 작은 역할이어도 뭐라도 하고 싶었다. 그래서 나머지는 묻고 따지는 것 없이 출연 결정을 빨리 내렸다"고 전했다.


더팩트

배우 문소리가 극 중 애순의 장년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넷플릭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극 중 중장년의 애순은 한때 시인을 꿈꾸던 새침데기 문학소녀였지만 가족들을 위해 좌판에서 오징어를 파는 씩씩한 엄마가 됐다. 파란만장한 나날들을 보내다 보니 어느새 청춘은 지나가 버렸지만, 나이가 들수록 현실에 치여 잊고 살았던 시인이라는 꿈이 자꾸만 떠오르는 인물이다.

이에 문소리는 애순 역할을 두고 "캐릭터는 별 큰 설정이 없고 색다른 캐릭터가 아닌데 미션이 어려웠다. 아무것도 못 하게 하는데 그 상황에서 뭘 해야 했다"고 표현해 웃음을 자아냈다.

"30~40대의 애순은 모두의 보편적인 엄마예요. 이 작품에서 말하는 엄마는 결코 특별한 엄마가 아니에요. 누가 봐도 '우리 엄마다' 싶어야 했죠. 때문에 다른 작품과 달리 보편성을 크게 가져가야 했어요. 그 안에서 아이유의 애순을 따라온 시청자들이 문소리의 애순으로 넘어가는 데 큰 무리가 없을 정도의 본질을 연기해야 했어요. 보편성 안에서 개별적인 특수성을 녹여내는 게 작품의 어려운 미션 중 하나였어요."


미션을 수행한 덕분이었을까. 극 중 문소리의 애순을 보면 늘 생각나는 수식어가 있었으니 바로 '세월이 흘렀지만 여전히 소녀다운'이다. 이는 임상춘 작가가 의도한 바이기도 하다. 문소리는 "시장에서 장사하며 살아남기 위해 얼마큼 억세질 것인가의 정도도 염두에 둬야 했다. 사실 광례(염혜란 분) 정도 갈 수도 있는 부분"이라며 "하지만 작가님은 '애순이다운 모습'을 원했다. 그게 바로 여전히 꿈을 지닌 소녀 같은 모습'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문소리는 애순이가 여전히 애순이일 수 있는 이유에 집중했다. 그는 "관식이의 사랑 같다. 나를 늘 최고라며 예쁘다고 귀하다고 해주는 사람이 있다. 그런 관식이가 만들어놓은 꽃밭에서 귤나라 공주처럼 떠받들어주는 해녀 이모들의 사랑까지. 이런 점이 애순다운 모습을 만들 수 있겠구나 싶었다"고 말했다.

더팩트

배우 문소리가 <더팩트>와 만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 관련 인터뷰를 진행했다. /넷플릭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퀸메이커' '지옥2' 등에서 보여준 모습과 평소 카리스마 짙은 문소리를 생각하면 애순이는 확연히 다른 이미지였다. 이에 문소리는 "정말 신기하게 애순과 비슷한 역할을 하면 늘 '평소의 문소리와 다르다'는 말이 나온다. 반면 가족과 지인들은 내가 딸과 남편에게 하는 모습이 나와서 재밌다고 하더라"며 "과거 '사과'라는 작품도 마찬가지였다. 많은 영화인들은 내게 '변신'이라고 표현했는데 장준환 씨만 유일하게 집에서 있는 모습이랑 너무 똑같아서 놀랐다고 했다"고 상반된 반응을 전했다.


때문에 일부로 목소리 톤을 높인 것도 아니란다. 그저 딸 앞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톤이 작품에서도 반영이 된 것이라고. 문소리는 "딸을 보면 절로 나오는 '했어~' '우리 애기', '야 엄마도 그땐 안 그랬어'라는 톤이 있다. 내가 어떻게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하는 게 아니다. 때문에 막상 이 자리에서 시키면 그런 톤이 안 나온다"며 "시어머니 전화 받을 때와 친정엄마 전화 받을 때 달라지는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톤이 있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노년의 애순이를 연기하면서는 여러 생각이 들었단다. 사실 배우로서 노년의 분장을 한다는 게 쉽지 않을 터인데 문소리는 분장을 위해 메이크업도 하지 않은 채 촬영장으로 향했으며 실제처럼 구현하기 위해 영상도 찾아보는 등 열정을 다했다.

그는 "이 작품을 찍으면서 나이 든다는 것과 늙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어떤 마음인지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됐다"며 "특히 얼굴을 내보여야 하는 배우라는 직업이 늙음을 받아들인다는 게 어려운 순간이 있다"고 털어놨다.

"애순이 덕분에 어느 고비를 조금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넘어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이를 잘 들어간다는 것이 저절로 되는 건 아니잖아요. 제가 조금 더 노력하면서 진지하고 중요하게 생각해야겠다는 마음이 많이 들었습니다."

더팩트

배우 문소리가 '폭싹 속았수다'의 오프닝과 엔딩을 담당하며 부담감을 느꼈다고 털어놨다. /넷플릭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폭싹 속았수다'는 문소리가 오프닝을 열고 문소리가 엔딩을 닫는다. 많은 배우들이 출연하는 가운데 16부작이라는 대장정의 시작과 끝을 맡는다는 점에서 부담감도 컸다.

문소리는 "정작 촬영할 때는 늘 편한 마음으로 갔다. 오히려 남편이 내일은 뭐 하냐고 물어보면 촬영간다는 말 대신 '금명이 밥 해주고 관식이 전 부쳐주러 가' '손자 돌잔치 하러 가야 해' '살림하면서 오징어도 몇 개 팔고 올게'라고 말하곤 했다"고 돌이켰다. 그는 "이처럼 캐릭터로서 엣지를 내서 큰 상황을 펼칠만한 건 아니었다. 하지만 여러모로 부담은 됐다. 그중 가장 큰 것이 처음과 끝을 담당하는 것이고 특히 노년의 모습으로 시청자들에게 다가가야 하는 것이었다. 보자마자 어색하게 느끼면 어떡하지 싶었다"고 털어놨다.

그럼에도 완벽한 오프닝과 엔딩을 맡으며 유종의 미의 한몫을 한 문소리다. 그런 그가 애순으로 살아본 한 인물로서 작품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을지도 궁금했다.

"별다른 메시지를 전하고 싶진 않아요. 같이 울고 웃어준 것만으로도 너무 감사합니다. 그리고 굳이 한 마디를 덧붙이자면 그냥 그렇게 같이 살아가요. 우리."

sstar1204@tf.co.kr
[연예부 | ssent@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