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
[파이낸셜뉴스]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금융권도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관세 부과로 수출입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여신관리 강화에 나서는 분위기다. 은행들이 외형 확장보다 건전성 관리에 주력하면서 올해 기업대출 규모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은행들은 오는 9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리스크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관세 부과 조치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산업의 경우 대출 연체율 등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다소 줄어든 상태지만 상호관세의 파급력이 훨씬 더 클 것으로 보고 건전성 관리에 고삐를 죄는 분위기다.
KB국민은행은 미국 상호관세에 따른 업종별·차주별 관세 리스크를 분석하고 있다. 대미 수출이나 판매 비중이 크고, 현지 생산능력 확보가 취약한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 감소 영향과 재무적 대응능력을 고려해 리스크 수준을 파악하고 있다. 관세 부과의 영향도를 구분해 올해 상반기 말 정기 산업등급 평가에 반영할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관세 위험에 특히 노출된 이차전지 등을 중점관리업종에 편입하면서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잠재적인 부실 영역을 조기에 선정하고, 연체 관리를 강화해 자산 건전성 관리에 전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신한은행 역시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뿐만 아니라 관세 증가에 따른 산업군별 영향 및 리스크 등을 살펴보고 있다. 상호관세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도 남아 있는 만큼 내외부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은행 역시 파생상품 등 환율 민감 자산과 외환여신 관리를 강화하고 보수적으로 운용할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올해 은행권의 기업대출 규모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상호관세 여파에 은행들이 여신 관리를 강화하면서 기업대출을 소극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지난 3월 주요 은행의 기업대출은 감소세를 보였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기업대출 잔액은 3월 말 기준 825조209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2조4937억원 감소한 수치다. 지난 1월 5조1002억원, 2월 1조9802억원이 증가했다가 석 달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통상 연초엔 은행권이 대출영업에 강한 드라이브를 거는 시기라 기업대출 규모가 축소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란 평가다. 자본력이 상대적으로 튼튼한 대기업 대상의 대출도 1조6254억원이 줄었다.
관세 타격에 더해 은행들이 보통주자본비율(CET1) 관리를 강화하면서 위험가중치가 높은 기업대출에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CET1은 은행의 건전성과 배당 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대출을 많이 늘리면 CET1이 떨어진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탄핵이 인용됐으나 상호관세가 훨씬 더 영향력이 큰 사안이라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며 "경기 침체까지 겹치면서 대출 포트폴리오를 우량 기업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입장에서는 정치적 불확실성보다 상호관세나 환율 등에 따른 수출입 기업들에 대한 건전성이 훨씬 중요하다"며 "현재 은행들이 외형 확장보다는 건전성 관리를 중시하고 있는데 이 같은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