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선욱 SNS 캡처 |
유튜브 나선욱이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풍 스타일 이미지로 의도치 않은 웃음을 주고 있다.
최근 나선욱은 자신의 SNS에 “더 뚱뚱하게 만들어버린 지브리”라는 글과 함께 여러 장의 사진을 올렸다. 사진 속 나선욱은 누군가와 즐겁게 인사하고 있는 장면인데 지브리 버전으로 바꾸니 얼굴에 살이 더 많이 붙어 보는 이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코부터 내려오는 팔자 주름도 더욱 부각됐다.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에 도입된 ‘지브리 필터’ 기능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일본 애니메이션계 거장들이 저작권 침해를 우려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근 챗GPT에 업로드한 사진에 지브리 필터를 적용하자 원본과는 다소 다른 모습의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생성되어 화제가 되었다. 특히 얼굴 부분이 후덕해지고 팔다리가 뚱뚱해지는 등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변환되어 누리꾼들 사이에서 큰 웃음을 자아냈다. 해당 기능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의 분위기를 애니메이션처럼 바꿔주는 것으로, ‘지브리 필터’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많은 이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 기능이 공개된 이후 챗GPT의 주간 활성 이용자는 1억 5천만 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시적으로 서버 접속이 지연될 만큼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나, 일본 애니메이션계 거장들은 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AI 애니메이션을 두고 “생명 그 자체에 대한 모욕이다. 이런 걸 보고 흥미롭게 여길 수 없다. 이걸 만든 사람은 고통이 뭔지 전혀 모른다. 정말 역겹다. 나는 이 기술을 내 작업과 결합하고 싶지 않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원피스’의 감독 이시타니 메구미도 “지브리의 이름을 더럽히다니. 지브리 브랜드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는 행위. 지브리 측이 공식적으로 허락했을 리가 없지 않으냐. 이런 허가 없는 이미지 사용이 왜 허용되는 거냐?”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열풍이 저작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