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성신여대가 중국의 도둑시청을 지적한 '폭싹 속았수다' 장면 [사진=서경덕 교수 SNS]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중국 장가계(장자제)시의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제작진과 배우를 초청한 것과 관련해 도둑시청을 인정한 꼴이라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중국 장가계시가 '폭싹 속았수다' 제작진과 배우들에게 초대장을 보내 빈축을 사고 있다"는 글을 게재했다.
이어 "이들이 이런 행동은 한 이유는 극 중 중년의 애순(문소리)이 관식(박해준)에게 '내년에 단풍 보러 장가계 가자'고 말하는 장면이 나왔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서 교수는 "잘 아시듯 넷플릭스는 중국에서 정식으로 서비스가 되고 있지 않다. 이는 중국에서 '폭싹 속았수다'를 몰래 훔쳐보고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시인한 꼴"이라면서 "최근 '오징어게임 시즌2'가 공개될 때도 그러더니 중국 내에서는 도둑시청이 일상이 된 상황"이라며 꼬집었다.
한편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에서 태어난 '요망진 반항아' 애순(아이유·문소리)과 '팔불출 무쇠' 관식(박보검·박해준)의 모험 가득한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넷플릭스 시리즈로, 글로벌한 인기를 끌고 있다.
다음은 서 교수의 입장 전문이다.
중국 장자제(장가계)시가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의 제작진과 배우들에게 초대장을 보내 빈축을 사고 있습니다.
이들이 이런 행동을 한 이유는, 극 중 중년의 애순(문소리)이 관식(박해준)에게 "내년엔 단풍 보러 장가계 가자"고 말하는 장면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잘 아시듯이 넷플릭스는 중국에서 정식으로 서비스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이는 바로 중국에서 '폭싹 속았수다'를 몰래 훔쳐보고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시인한 꼴입니다.
지난 번에도 말씀드렸듯이 최근 '오징어게임' 시즌2가 공개될 때도 그러더니 중국 내에서는 '도둑시청'이 이제는 일상이 된 상황입니다.
무엇보다 이제는 중국 지자체에서도 훔쳐 본 영상을 대외적인 홍보로 버젓이 이용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큰 문제입니다.
이젠 우리 정부가 나서야만 할 때입니다.
이들의 이런 도둑시청을 더 이상 묵과하지 말고 강하게 어필을 해야만 할 것입니다.
아주경제=이건희 기자 topkeontop12@aju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