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트럼프 관세 폭탄에 스마트폰 업계도 '비상'

서울맑음 / 18.8 °
SB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발표한 상호관세가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계에도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 삼성전자, 중국 제조사 등 주요 스마트폰 업체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수십 퍼센트에 이르는 고율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됐기 때문입니다.

오늘(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자사 스마트폰의 약 90%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이번에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상호관세율은 34%에 달합니다.

여기에 마약 유입 문제로 이미 20%의 관세가 추가된 상태여서, 백악관 설명에 따르면 애플 제품에는 사실상 54%의 관세율이 적용됩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뉴욕증시 마감 이후 시간 외 거래에서 애플 주가는 7.54% 급락했습니다.

경쟁사인 삼성전자도 상황이 여의치 않습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인도, 브라질, 한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스마트폰 생산지를 다변화해왔지만, 미국이 베트남에 부과한 상호관세율이 46%에 이르는 등 주요 생산국 대부분이 고율 관세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인도는 26%, 브라질 10%, 한국 25%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갑작스러운 인상 폭을 고려하면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삼성전자는 또 지난해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약 22%를 중국 등 외주 공장을 통한 ODM(제조업자개발생산) 방식으로 생산했는데, 이들 제품은 중국산으로 분류돼 54%의 고율 관세 적용을 받게 됩니다.


다만 해당 ODM 제품은 갤럭시 M, A 시리즈 등 중저가 모델이 주를 이뤄 프리미엄 제품 위주의 미국 시장에서는 타격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하지만 애플과 삼성전자 등 제조업체가 미국 시장에서 관세 부담을 제품 가격에 전가할 경우, 국내 가격 책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 이전 보고서에서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경기 변동과 잠재적인 미국 관세, 규정 준수 요건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엄민재 기자 happym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