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이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이투데이
원문보기
속보
인도-파키스탄, 5월18일까지 휴전 연장 합의
지난 3월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서 차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지난 3월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서 차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4일로 지정했지만 당사자인 윤 대통령은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정치적 고비 때마다 지지층 결집 메시지를 냈던 윤 대통령은 탄핵 선고가 임박한 상황에서 입장 표명을 자제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사회ㆍ정치의 극한 분열을 완화하고 제도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윤 대통령이 통합 메시지를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 이틀 전인 이날까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만 전날 "차분하게 헌재의 결정을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전하며 말을 아꼈다.

그간 윤 대통령은 정치적 고비 때마다 보수 결집을 시도하는 듯한 메시지를 내놨다. 지난해 12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과 수색영장을 청구해 발부받았을 당시 그는 A4용지 1장짜리 글에서 "나라 안팎의 주권침탈세력과 반국가세력의 준동으로 지금 대한민국이 위험하다"며 "여러분과 함께 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12월 7일 국회의 첫 탄핵소추안 투표 당시엔 '당에 일임하겠다'는 내용의 담화를 내면서 여당 의원들이 투표에 나서지 않아 투표 불성립으로 탄핵 위기를 넘기기도 했다. 두 번째 탄핵소추안 투표가 있었던 12월 14일을 이틀 남기고는 내란 불성립과 계엄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내용의 담화문을 발표하며 탄핵 소추를 정면돌파했다. 당시 정치권에선 앞으로 있을 탄핵 심판에 대한 공개변론이자 지지층 결집용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윤 대통령은 그러나 지난달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석방된 이후 줄곧 침묵을 이어오고 있다. 정치권이 지난달 승복 메시지를 두고 거센 공방을 벌이던 중 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이 "승복을 약속할 진짜 당사자는 윤석열 (대통령)이다. 자기 살고 김건희 (여사) 살리자고 이 난리를 만든 당사자 아니냐"고 공세를 이어간 와중에도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 모두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한 상황에서 굳이 헌재와 정치권을 자극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일각에선 탄핵정국으로 정치ㆍ사회 분열이 가속화하고 선고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탄핵 찬반 집회의 물리적 충돌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윤 대통령의 메시지가 나올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 시점에선 윤 대통령의 메시지가 당연히 나와야 한다"면서 "불안감과 혼란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도 그렇지만 대통령으로서 (사법 등) 제도에 대한 신뢰를 높일 필요가 있다. 대통령이 그 신뢰를 높여야 대한민국이 계속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여야는 이날도 헌재 탄핵 선고 결정에 대한 '승복'을 둘러싸고 신경전을 이어갔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 선고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어떤 결정이든 승복하겠다는 이야기를 분명히 해야 한다"며 "민주당이 아직까지 그런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것은 매우 아쉽고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어제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판결) 내용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불복해야 한다는 반민주적인 이야기를 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경우에 따라 유혈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며 선동하는 듯한 이야기도 했다. 정치인들이 할 이야기가 아닌 반헌법적인 언사"라고 비판했다.

이재명 대표는 이같은 승복 메시지 논란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이투데이/김동효 기자 (sorahosi@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