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 등 납품업체 비중 높아
배터리·자동차업 ‘최대 타격’
중소기업 대부분 대응책 ‘무’
배터리·자동차업 ‘최대 타격’
중소기업 대부분 대응책 ‘무’
![]() |
어떤 산업이 또 영향권 들까 미국이 2일(현지시간) 발표할 예정인 상호관세와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시행을 앞둔 1일 경기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를 앞두고,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이 관세 리스크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10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 관세 영향 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발 관세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했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한 기업이 46.3%,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0%였다.
영향권에 속한 기업들은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의 비중이 높았다. 이어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 기업’(17.9%),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 기업’(14.2%),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 기업’(13.8%) 순이었다.
미국 관세 대상국 이외의 국가와 국내 시장에서 중국 등과 경쟁하는 기업, 중국에 부품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들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직간접 영향권에 속한 업종을 보면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이 많았다.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등이 뒤를 이었다.
해당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 영향으로 ‘납품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했다. 이어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 ‘납품단가 하락’(6.2%) 등을 걱정했다.
반면 기업들의 대응은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한 대응 수준을 묻는 질문에 ‘동향 모니터링 중’(45.5%), ‘생산 코스트(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모색 중’(29.0%)인 기업이 74.5%에 달했다.
‘현지 생산이나 시장 다각화 등을 모색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고 ‘대응 계획 없다’고 응답한 기업도 20.8%였다.
특히 중소기업들의 대응력이 미흡한 것으로 파악됐다. 영향권에 있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대응 계획이 없다(24.2%)고 답했다. 생산 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는 중소기업(27.4%)은 대기업(42.0%)에 비해 훨씬 적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민간 네트워크와 외교 채널을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피해 업종에 대한 지원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주 기자 jinju@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