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 7연승 중인 LG 선수단.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프로야구 LG가 개막 7연승을 달리며 신바람을 내고 있다. 팀 개막 최다 연승 기록을 새로 쓰며 선두 자리도 지키고 있다. 1일 수원에서 시작하는 KT와의 주중 3연전마저 쓸어 담으면 2003년 삼성, 2022년 SSG와 함께 개막 최다 10연승 기록에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다. KT는 현재 4승 1무 3패로 4위를 달리고 있다.
올 시즌 LG가 지는 법을 잊은 이유는 높은 마운드 때문이다. 31일 현재 LG의 평균자책점은 1.86으로 10개 구단 중 가장 낮다. 10연승 기준 2003년 삼성(2.70)은 물론 2022년 SSG(1.88)과 비교해도 더 좋은 승부를 펼치고 있다. 2022년은 SSG 에이스 김광현(37)이 평균자책점 커리어하이(2.13)를 기록했던 시즌이다. 올 시즌 LG의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은 0.86으로 채 1이 안 된다. LG를 상대하는 팀들은 이닝당 평균 1명도 채 1루를 밟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특히 선발 로테이션을 구성한 5명의 선발투수가 제 역할을 100% 이상 해주며 순조롭게 경기를 풀어가고 있다. 7승 중 선발승만 5승이다. 내용도 좋다. 현재 LG의 선발투수들은 10개 구단 중 가장 많은 평균 6과 3분의2이닝에 평균자책점 1.50을 기록하고 있다. 선발투수들이 평균 7회 2아웃까지 경기를 책임지면서 불펜의 과부하도 방지되고 있다.
2경기에서 모두 승리를 따낸 LG 2선발 손주영. LG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토종 선발들의 활약이 고무적이다. 2선발을 맡은 손주영(27) 2경기에서 평균자책점 2.77로 호투하면서 2승을 챙겼다. 4선발 임찬규(33)는 지난달 26일 한화전에서 2011년 프로데뷔 후 14년 만에 첫 완봉승을 거뒀다. 올해 전까지 선발 등판이 한 번도 없었던 5선발 송승기(23)도 지난달 27일 한화전에서 7이닝 무실점으로 깜짝 활약을 펼쳤다. 염경엽 LG 감독도 “팀원과 팬들에게 희망을 주는 투구였다”며 송승기의 호투에 대해 칭찬했다.
데뷔 후 첫 완봉승을 수확한 LG 임참규. LG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마운드 못지않게 타선도 팀 타율 0.303으로 승리를 뒷받침하고 있다. 10개 구단 중 3위다. 10연승 당시 2003년 삼성(0.314)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22년 SSG(0.270)에 비해 크게 앞선다. 2003년은 삼성 이승엽(49·현 두산 감독)이 단일 시즌 아시아 최다 홈런(56개)을 날린 기념비적인 해이기도 하다. 당시 개막 10경기에선 마해영(55)이 타율 0.439에 5홈런으로 맹타를 휘둘렀다.
LG 4번타자 문보경(25)도 타율 0.375에 4홈런으로 홈런 부문 공동 선두에 오르며 팀 타선을 이끌고 있다. 이밖에 송찬의(타율 0.364), 박동원(0.348), 오스틴(0.333)도 3할 대 타율로 활약 중이다.
23일 롯데전에서 환하게 미소짓는 염경엽 LG 감독.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개막 10연승을 달린 2003년 삼성과 2022년 SSG는 사뭇 다른 길을 걸었다. 삼성은 그해 정규시즌 3위를 한 뒤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반면, SSG는 한국시리즈 챔피언 자리에 오르며 프로야구 사상 첫 ‘와이어 투 와이어(첫 경기부터 마지막 경기까지 1위)’를 달성했다. LG의 신바람은 어느 방향으로 향할까.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