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활용도 높고 수익성이 좋은 딸기 재배
![]() |
광명시는 오는 6월까지 광명동굴 근처 옛 업사이클아트센터 등 2개소에 딸기 스마트팜을 설치한다. /광명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엄명수 기자 = 경기 광명시 도심 한 복판에서 딸기가 생산된다.
광명시는 도심에서 농산물을 기르고 미래 농업을 체험할 수 있는 딸기 스마트팜을 설치한다고 27일 밝혔다.
설치되는 딸기 스마트팜은 공공형과 수익형 2개소로, 시는 오는 6월까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도심 내 유휴공간에 스마트팜을 설치해 스마트 농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농업환경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우선 공공형 스마트팜은 광명동굴 근처 옛 업사이클아트센터 내 206㎡ 규모에 밀폐·수직형 딸기 스마트팜, 체험·전시실, 교육장 등을 갖춘다.
이곳에서 재배되는 딸기는 LED 조명, 자동화시스템, 공조기, 온·습도 센서로 키우며, 키운 딸기는 스마트팜 내 체험·교육 시설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에 사용된다.
공공형 스마트팜에서는 스마트팜 시설을 견학하고 작물을 직접 수확하는 체험 프로그램과 스마트팜 키트 만들기, 딸기 디저트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을 유료로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스마트팜 운영 교육, 스마트팜 작물 재배교육 등을 운영해 미래 농업 인재도 양성한다.
또 시는 하안동 아파트형 공장 112호 약 192㎡규모에 밀폐·수직형 딸기 모종 스마트팜을 설치한다.
이곳에서 키운 딸기 모종은 농가나 식물공장에 판매하고 일반인 대상으로 판매도 할 예정이다.
시는 스마트팜에서 재배하는 딸기가 모종부터 밀폐된 공간에서 커야 재배 성공 확률이 높기 때문에 공공형과 수익형 스마트팜 동시 조성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는 광명시흥 3기 신도시 개발,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개발로 농지가 줄어들고 있다"며 "이번 실내 스마트팜 조성은 미래 농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스마트 농업 정책을 추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