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매파' 보스틱 "연준, 올해 금리인하 1회 전망"

속보
대구 함지산 산불에 경부고속도 북대구IC 양방향 진입·진출 차단
블룸버그 인터뷰
금리인하 전망 2→1회로 수정
"인플레 목표 밀려 정책도 변경해야"
"물가 일시적 상승" 파월 발언에 이견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내에서 ‘매파(통화긴축 선호)’ 인사로 꼽히는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올해 금리 인하가 단 한 차례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데일리

(사진=이데일리 DB)




보스틱 총재는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TV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매우 울퉁불퉁하고 2% 목표치로 명확하게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가하기 때문에 금리인하 전망을 (두 번에서) 한 번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그는 “인플레이션 목표가 뒤로 밀려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정책 경로도 뒤로 밀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보스틱 총재는 2027년 초에나 연준의 물가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는 연준이 지난 18~19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개인소비지출(PCE)과 근원 PCE 물가 상승률 모두 2027년 2.0%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 것과 일치하는 견해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잦은 관세 정책 변경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경제 예측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더 많은 관세가 도입되면 인플레이션에 상방 리스크를 더하고, 투자심리 위축이나 해고 증가는 고용에 하방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변경된 정책이 시행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전망치를 추가로 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스틱 총재는 “정책이 매주, 매월 얼마나 빠르게 변화하는지를 고려할 때 실제로 정책이 시행되고 정착되는 것을 보기 전까지는 확신을 가지고 예측을 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상승은 “일시적(transitory)”이고 경기 침체 가능성도 낮다고 발언한 데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보스틱 총재는 “나는 그 단어를 말하지 않을 것”이라며 ‘일시적’이라는 단어를 받아들이지 않으려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그는 관세가 역사적으로 가격에 일회성 영향을 미쳤으나, 최근에는 그렇지 않다고 짚었다. 최근 높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이번에는 더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보스틱 총재는 “우리는 방금 높은 인플레이션의 시기를 겪었기 때문에 소비자의 마음은 매우 불안하다”며 “소비자들이 과거보다 현재 물가 상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까 봐 걱정되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