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승부' 주연 배우 이병헌 인터뷰
![]() |
영화 '승부'에서 바둑황제 조훈현을 연기한 배우 이병헌. 사진 바이포엠스튜디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 개봉하는 영화 '승부'는 한국 바둑계의 전설 조훈현과 이창호 간 운명적 대결을 그린 작품이다.
이병헌은 "바둑의 신과 싸워도 질 것 같지 않은" 자신감으로 '바둑 황제'에 등극한 조훈현을, 유아인은 스승 조훈현을 넘어서는 '바둑 천재' 이창호를 연기했다. 영화는 한 지붕 아래 살아온 사제지간이지만, 프로의 세계인 바둑판에선 서로를 반드시 이겨야 하는 둘의 숙명적 고뇌를 드라마틱하게 담아낸다.
영화 '남산의 부장들'(2020)에 이어 또 다시 실존 인물을 연기한 이병헌은 2대8 가르마, 치켜 올라간 눈썹, 검지와 중지로 턱을 괴고 다리를 떠는 습관 등 조훈현의 모습을 고스란히 재현해낸다.
21일 서울 삼청동 카페에서 만난 이병헌은 "조 국수(조훈현)를 만나 그의 성격과 심성, 버릇 등을 관찰했다"며 "다큐멘터리와 사진에서 본 모습을 머릿속에 넣어두고 촬영 직전에도 또 한 번 본 뒤 그대로 했는데, 예고편을 본 조 국수가 ‘나인 줄 알았다’고 하셔서 다행이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 |
영화 '승부'에서 바둑황제 조훈현을 연기한 배우 이병헌. 그는 ″바둑 자체보다는 조훈현의 인간적 감정선을 세밀히 표현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사진 바이포엠스튜디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우가 바둑돌 만은 제대로 잡게 해달라"며 영화화를 허락한 조훈현의 부탁에 따라, 이병헌은 프로 바둑기사에게 교습을 받으며 자세를 익혔고, 집에 바둑판을 들여놓고 연습을 이어갔다. "놓아진 바둑돌을 건드리지 않은 채 거침없이 돌을 놓고, 능숙하게 상대 돌을 가져가는 걸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이병헌은 영화가 바둑 자체보다 사제 관계에 중점을 둔 작품인 만큼 조훈현의 감정선을 잘 표현해내려 노력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는 자신이 키운 '호랑이 새끼'에게 일격을 당한 충격과 좌절 등 조훈현이 겪었던 감정을 연기 고수 답게 실감나게 표현해낸다. 1990년, 15세의 이창호가 스승이자 바둑 황제인 조훈현을 꺾은 건 바둑계의 쿠데타 같은 사건이었다.
![]() |
영화 '승부'에서 어린 이창호(김강훈, 오른쪽)와 바둑을 두고 있는 조훈현(이병헌). 사진 바이포엠스튜디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영화 '승부'는 바둑황제 조훈현(오른쪽)이 제자 이창호에게 패한 충격을 딛고 재기에 성공해 도전자로서 이창호와의 대결에 나서는 과정을 그렸다. 사진 바이포엠스튜디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병헌은 특히 적수가 없다고 자신했던 조훈현이 제자에게 패한 뒤 넋이 나간 표정으로 허공을 바라보는 장면에 심혈을 기울였다. "영화의 핵심 정서를 보여주는 장면"이란 판단 때문이었다. 몰려든 기자들에게 "가르칠 게 더 이상 없네요"라고 말한 뒤 도망치듯 대국장을 빠져나온 영화 속 조훈현의 표정엔 충격, 당혹감, 허탈함 등 다양한 감정이 읽힌다.
"조 국수가 그 때 질 거라고 생각도 못했다고 말씀하셨어요. 당시 그가 느꼈을 여러 감정을 연기하려 했는데, 어떻게 보여줘야 할 지 고민이 깊었죠. 연기해도 뭔가 만족스럽지 않고, 이게 맞나 라는 물음이 계속 떠올랐어요. 다르게 해보고 싶다는 욕심에 '한번 더' 하면서 감독에게 여러 번 부탁했습니다."
이병헌이 그려낸 자신의 과거 모습이 마음에 들었는지, 조훈현은 영화 시사를 본 뒤 "그때 내가 저랬지"라며 회상에 잠겼다고 한다. 극 중 조훈현이 이창호를 엄하게 가르치는 장면을 보고는 “난 저렇게 디테일하게 가르치지 않았다. 창호 스스로 그 위치까지 올라간 것”이라고 말했다고 이병헌이 전했다.
조훈현은 제자에게 패한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대국도 포기할 정도로 방황한다. 그러다가 '바둑은 냉혹한 승부이자 자신과의 싸움'이란 초심을 되찾고 도전자의 입장에서 다시 제자와의 대결에 나선다. 이 작품이 바둑 영화가 아닌, 실패와 좌절을 극복한 인물의 성장 영화로 읽히는 이유다. 이병헌은 “바둑 자체가 중요한 영화라면 출연을 고민했을 것”이라며 “결국 사람과 인생에 대한 얘기”라고 말했다.
![]() |
영화 '승부'에서 바둑황제 조훈현을 연기한 배우 이병헌. 사진 바이포엠스튜디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한국 바둑계의 전설 조훈현(왼쪽)과 포즈를 취한 배우 이병헌. 이병헌은 영화 '승부'에서 조훈현을 연기했다. 사진 바이포엠스튜디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훈현이 바닥을 치고 다시 일어선 것처럼, 이병헌도 그런 실패의 시간을 겪었다고 했다. 1990년대 TV드라마에선 인기를 누렸지만, 영화에서는 데뷔작 '런어웨이'(1995)를 비롯, 네 편 연속 흥행에 실패해 ‘국밥 배우’로 불렸던 흑역사를 떠올렸다.
“최근 제 커리어를 보면 사랑받은 작품이 많지만, 저는 90년대 충무로에서 절대 쓰면 안되는 배우였어요. 신인이 영화 두세 번 망하면 캐스팅을 아예 안하는 룰 같은 게 있었는데, 저는 네 편을 연속해 말아 먹고도 운 좋게 다섯 번째 영화에 캐스팅됐어요. 개인적으론 4전5기인데, 충무로 미스터리 중 하나로 꼽히죠(웃음).”
이병헌은 다섯 번째 영화 ‘내 마음의 풍금’(1999)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은 뒤, ‘공동경비구역 JSA’(2000), ‘번지점프를 하다’(2001) 등을 잇따라 흥행시키며 충무로 연기파 배우로 자리잡았다.
자신을 ‘영화배우 이병헌’으로 소개하는 게 무척 기뻤다는 그는 TV드라마,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시리즈보다 영화가 더 좋다고 했다. “어릴 때부터 극장에 데려갔던 아버지의 영향 덕분”이라며 “극장 특유의 냄새를 맡으면 지금도 가슴이 콩닥콩닥 뛴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는 우여곡절이 많던 이 영화를 OTT가 아닌 스크린을 통해 관객에 선보이게 돼 너무 행복하다고 말했다. ‘승부’는 유아인의 마약 파문으로 개봉이 미뤄진 채 OTT로 직행할 뻔하다가 신생 투자배급사 바이포엠스튜디오가 배급을 맡으면서 극장에서 관객을 만나게 됐다. 이병헌은 “지금 가장 힘든 건 그 친구(유아인)일 것”이라며 “이창호의 돌부처 같은 캐릭터를 놓치지 않으려고 현장에서도 과묵하게 있었다”고 말했다.
정현목 문화선임기자 gojhm@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