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일본은행, 기준금리 0.5% 동결… 트럼프 변수 반영

서울맑음 / 8.7 °
6월께 금리인상 타이밍 볼 듯


【파이낸셜뉴스 도쿄=김경민 특파원】 일본은행(BOJ)은 19일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과 세계 경제의 하방 리스크, 국내 경제 및 물가 동향을 신중하게 파악한 후 이르면 6월께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9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날 BOJ 회의에서 정책위원 9명 전원이 금리 동결에 찬성했다.

앞서 BOJ는 지난 1월 회의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0.25% 정도'에서 '0.5% 정도'로 인상한 바 있다. 시장에서도 이번 회의에서는 금리 동결을 예상하고 있었다.

BOJ 역시 이번 회의 후 발표한 성명에서 "각국의 통상정책 등의 움직임과 그 영향을 받는 해외 경제·물가 동향, 자원가격 동향, 기업의 임금·가격 설정 등 일본 경제와 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계속 높다"고 지적했다. BOJ는 물가와 임금이 대체로 예상대로 가고 있다고 보는 가운데 경제가 전망대로 움직일 경우 금리 인상을 지속할 계획이다.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기대비 3.2% 상승해 34개월 연속 2%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에 따르면 2025년 춘계 노사교섭 1차 회답 집계에서 평균 기본급 인상률은 3.84%로 나타났다.

다만 세계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를 배경으로 BOJ의 향후 금리 인상 속도나 시기는 예측하기 어렵게 됐다는 게 현지 분위기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상대국과 동일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내달 2일 도입키로 하면서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다.


이와 관련 가와노 류타로 BNP파리바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BOJ의 다음 금리인상 메인 시나리오는 6월"이라고 전망하면서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이로 인한 불확실성 증가로 세계 경제가 명확히 불황으로 향하면 금리인상을 중단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교도통신은 "2025년 봄철 임금 협상에서 대기업 중심으로 임금 인상률이 지난해처럼 높다는 것도 금리인상에 순풍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도 관세를 부과하면 기간산업에 대한 타격이 커서 영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BOJ는 지난해 3월 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올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한 이후 금리인상 기조로 전환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