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1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글로벌지속가능발전포럼(GEEF)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기후변화는 한은의 물가관리에도 상당한 부담이 된다"며 "기후변화 대응은 정부와 기업, 금융기관, 가계가 함께 해결해야 할 시급한 범국가적 과제"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한은 별관에서 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개최한 '기후금융 컨퍼런스' 환영사에서 "이번 논의가 모든 경제주체에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구조 전환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기후변화로 관련 상품의 가격이 급등하는 등 한은의 물가관리에도 상당한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폭염에 따른 온열 질환자 급증 △극한 호우로 서울 도심과 산업 현장 침수 △기업상승에 따른 농산물 재배지와 연근해 어종 분포 변화 등을 예로 들었다.
환경부의 기후 위기 대응 제도도 소개했다. 이 총재는 "2021년 12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구축해 녹생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법 시행령 개정으로 탄소배출 감축의 핵심 수단인 배출권 거래 시장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산업을 관장하는 한은과 금융당국도 기후 리스크로 기존 금융시스템이 고려하지 못했던 '테일리스크'(tail risk)가 무엇이고 잠재적 피해 규모가 어느정도인지 주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한은과 금감원 분석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거나 대응이 지연되면 금융기관의 건전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다"며 "적절한 기후대응 정책이 시행되면 금융기관의 손실을 일정 수준 안에서 관리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은과 금감원, 기상청이 협력해 국내 최초로 우리나라 맞춤형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개발했고, 14개 주요 금융기관이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며 "공동 프로젝트 경험은 기후 리스크 조기경보 체계를 구축하고 금융시스템의 복원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여러 기관이 협력해 창출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사례"라며 "금융기관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리스크에 대해서는 '위험 관리자(risk manager)'로서, 전환 리스크에 대해서는 녹색 전환을 위한 자금을 공급하는 '위험 수용자(risk taker)'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주현 기자 nar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