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국 조선업 부활’의 청사진이 점차 드러나면서 한국 조선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로널드 오루크 미 연방의회 산하 의회조사국(CRS) 해군업무 분석관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하원 군사위원회 소위원회에서 “일본, 한국, 유럽 등 동맹국 조선소에서 미 해군 함정이나 일부 부품을 건조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며 “함정건조에 필요한 노동 투입량을 줄이는 한국의 생산성 중심의 생산 설계를 채택하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이라고 설명했다.
한·일 등 동맹국의 기술을 활용해 자국 조선업 부흥을 이끌겠다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동맹국의 미국 내 조선소 인수 혹은 신규 조선소 건립 후 공동운영 ▶군함·상선 일부 동맹국 건조, 미국서 최종조립 등이 꼽힌다.
로널드 오루크 미 연방의회 산하 의회조사국(CRS) 해군업무 분석관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하원 군사위원회 소위원회에서 “일본, 한국, 유럽 등 동맹국 조선소에서 미 해군 함정이나 일부 부품을 건조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며 “함정건조에 필요한 노동 투입량을 줄이는 한국의 생산성 중심의 생산 설계를 채택하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이라고 설명했다.
한·일 등 동맹국의 기술을 활용해 자국 조선업 부흥을 이끌겠다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동맹국의 미국 내 조선소 인수 혹은 신규 조선소 건립 후 공동운영 ▶군함·상선 일부 동맹국 건조, 미국서 최종조립 등이 꼽힌다.
미국의 이같은 움직임은 중국의 해군력이 날로 강해지기 때문이다. 미 국방부가 지난해 발간한 ‘2024 중국 군사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전투함정 숫자는 2010년 220척→2020년 360척→2025년 400척으로 증가했다. 반면에 미국은 같은 기간 288척→296척→287척으로 정체됐다. 특히 2030년이면 중국 425척, 미국 294척으로 격차가 확 벌어진다.
올해 1월 미 의회예산국은 미 해군이 2054년까지 연평균 300억 달러(약 43조5000억원)를 투입해 364척의 신규함정을 건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단기간에 군함을 대량 건조할 능력은 부족하다. 1980년대 이후 미 정부의 조선지원책 폐지, 높은 인건비로 조선업 인프라가 망가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 조선업계에서는 수주량 증가에 기대를 걸고 있다. 특히 전투군함의 해외건조를 금지하는 ‘번스-톨리프슨법(Burns-Tollefson Act)’이 수정될 가능성이 적잖다. 미국 상원은 동맹국에서 자국 선박을 건조할 수 있게 하는 ‘미국을 위한 선박법(SHIPS for America Act)’을 지난해 12월 발의했다. 김기원 대경대 군사학과 교수는 “한국은 잠수함, 이지스함을 건조하고 유지·보수·정비하는 기술을 장기간 축적해온 데다가, 군사기밀 유출 우려가 적은 동맹국이기 때문에 건조 및 정비를 맡길 요인이 크다”고 분석했다.
조선업계는 대미투자도 적극 검토하는 분위기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미국 필리조선소를 1억 달러(1450억원)에 매입한 바 있다. 이장현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미국 내 규제와 수주량 등 현재로선 불확실성이 크다”며 “미국 정책에 따라 투자 규모를 점차 늘려나가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