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디는 현대 축구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발언
[이데일리 스타in 주미희 기자] 홍명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도 최근 국내 축구계의 가장 뜨거운 감자인 손상된 잔디 문제에 대해 관리주체가 더 관심을 갖고 힘써달라고 제언했다.
홍 감독은 10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열린 2026 북중미월드컵 3차 예선 7·8차전 출전 선수 명단 발표 기자회견에서 “요즘 축구는 기술적이고 전술적이다. 수준이 점점 높아지는데, 가장 중요한 잔디가 받쳐주지 못하면 심각한 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사람에게 (잔디 문제가)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선수단 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팀 퀄리티를 결정하는 문제”라고 부연했다.
![]() |
월드컵 예선 나설 선수 발표하는 홍명보 축구 대표팀 감독(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 감독은 10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열린 2026 북중미월드컵 3차 예선 7·8차전 출전 선수 명단 발표 기자회견에서 “요즘 축구는 기술적이고 전술적이다. 수준이 점점 높아지는데, 가장 중요한 잔디가 받쳐주지 못하면 심각한 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사람에게 (잔디 문제가)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선수단 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팀 퀄리티를 결정하는 문제”라고 부연했다.
이어 “클럽은 클럽대로 더 관심을 갖고, (잔디를) 관리해주시는 주체들도 더 책임감을 가져주시면 좋겠다”며 “좋은 잔디에서 (축구를) 하면 더 좋은 경기력이 나올 거라고 100% 확신한다”고 말했다.
실제 K리그와 더불어 국가대표 경기까지 열악한 잔디 상태로 경기장 사용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K리그1의 전북 현대는 경기를 치르지 못할 정도의 전주월드컵경기장 잔디 상태로 AFC 챔피언스리그2(ACL2) 홈경기권을 박탈당했다. 대신 160km나 떨어진 경기도 용인에 있는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개최했다.
지난 3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서울과 김천 상무의 K리그 경기는 ‘빙상 잔디’라 불릴 만큼 엉망인 탓에 제대로 된 플레이를 펼치지 못했다. 감독들은 “잔디가 최악이라 준비한 축구를 할 수 없었다”며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우리나라 대표팀도 잔디 상태로 피해를 봤다. 홈구장인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 상태가 좋지 못해 이번 3월 A매치(국가대표팀간 경기) 장소도 수도권의 다른 경기장으로 바꿔야 했다. 20일 오만전은 고양종합운동장, 25일 요르단전은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치른다.
이에 한국 대표팀은 6만명이 넘는 많은 홈 관중의 이점을 누릴 수 없고,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 행사도 서울에서 열지 못하는 등 피해가 적지 않다.
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를 관리하는 서울시설공단은 논란이 커지자 부랴부랴 “예산을 3배 투입해 3월 말까지 잔디를 정상화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홍명보호는 오는 17일 고양에서 소집해 3월 A매치를 준비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