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연합뉴스 언론사 이미지

美1월 PCE 물가상승률 둔화…개인소비, 팬데믹이후 최대 감소(종합)

연합뉴스 이지헌
원문보기
속보
한덕수 "단일화 조건 없이 응할 것…어떤 방식이든 좋아"
'연준 중시' 근원 PCE 물가 2.6%↑…상승률 7개월 만에 최저
개인소비지출, 내구재 지출감소에 전월대비 0.2%↓…美경기둔화 우려 커질 듯
연합뉴스

로스앤젤레스의 한 식료품의 쇼핑객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올해 1월 들어 소폭 둔화했다.

1월 개인소비 지표는 팬데믹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해 미국의 경기 둔화 우려를 키울 전망이다.

미 상무부는 지난 1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한 달 전인 지난해 12월(2.6%)과 비교해 상승세가 다소 둔화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3%로, 작년 12월 상승률(0.3%)과 같았다.

전년 동월 대비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9월 2.1%까지 내려갔다가 이후 3개월간 상승률이 높아지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운 바 있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6%로, 작년 12월(2.9%) 대비 상승세가 크게 둔화하면서 지난해 6월(2.6%)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3%로 작년 12월과 같았다.

근원지수는 대표지수에서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지표로,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 거주자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물가 지표다.

연준은 '2% 물가상승률'이라는 통화정책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할 때 상대적으로 더 널리 알려진 소비자물가지수(CPI) 대신 PCE 가격지수를 준거로 삼는다.

이날 발표된 대표지수 및 근원지수 상승률은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에 모두 부합했다.


연합뉴스

미 연방준비제도 청사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편 이날 함께 발표된 1월 명목 개인소비지출(계절조정)은 전월 대비 0.2% 감소해 0.1% 증가를 예상한 전문가 전망을 크게 밑돌았다.

이는 팬데믹 시기인 2021년 2월(-0.6%)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감소율이다.

서비스 소비가 전월 대비 0.3% 늘었지만, 재화 소비가 1.2% 감소한 게 1월 개인소비지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경기변동에 민감한 내구재(-3.0%) 소비의 감소 폭이 컸다.

미국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가 꺾인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미 경제의 중추인 소비가 1월 들어 실제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를 키울 전망이다.

p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