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포그래픽=중기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5곳 중 3곳은 부채가 있고 부채액은 평균 약 2억원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27일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소상공인실태조사'의 잠정결과를 발표했다. 소상공인실태조사는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매년 시행되고 있다.
기존에는 통계청과 공동으로 조사를 수행했으나 이번 조사부터는 중기부가 단독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기준도 개편해 기존 사업체를 단위로 조사하는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명부를 활용했으나 이번부터는 기업단위 통계로서 조사자료와 행정자료를 결합한 기업통계등록부로 명부를 변경했다.
이에 따라 기업체 단위의 소상공인 실태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으며 행정자료에만 존재해 기존 조사에서 누락됐던 소상공인까지 포함돼 조사범위가 확장됐다.
2023년 소상공인 11개 주요 업종의 기업체, 종사자 현황을 살펴보면 소상공인 기업체 수는 596만1000개(2022년 사업체 412만4000개), 종사자 수는 955만1000명(2022년 713만5000명), 기업체당 종사자 수는 1.60명(2022년 1.73명)으로 확인됐다.
전년과 비교하면 기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증가하고 기업체당 평균 종사자 수는 감소했다. 그러나 이번 조사는 모집단 기준이 변경됐기 때문에 전년과 직접적인 수치 비교는 어렵다.
특히 기존 조사자료에 포함되지 않았던 소규모 기업체가 추가로 반영된 것이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업종별 기업체 수를 살펴보면 도·소매업이 200만개(33.6%)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부동산업이 85만4000개(14.3%), 숙박·음식점업이 79만개(13.3%)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제조업(55만4000개, 9.3%), 건설업(55만1000개, 9.2%)이 뒤따랐다.
업종별 종사자 수에서도 도·소매업이 299만1000명(31.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숙박·음식점업(140만6000명, 14.7%), 제조업(130만2000명, 13.6%), 건설업(107만6000명, 11.3%), 부동산업(107만6000명, 11.3%) 순으로 많았다.
소상공인의 경영실적과 부채 현황을 살펴보면 기업체당 연간 매출액은 1억9900만원(2022년 2억3400만원), 연간 영업이익은 2500만원(2022년 3100만원)으로 나타났다.
기업체 부채 보유비율은 60.9%(2022년 59.3%), 기업체당 부채액은 1억9500만원(2022년 1억8500만원)이었다
또 창업동기 조사에서는 '자신만의 사업을 직접 경영하고 싶어서'가 62.6%로 가장 큰 창업동기로 꼽혔으며 2순위는 '수입이 더 많을 것 같아서(28.9%)', 3순위는 '임금근로자로 취업이 어려워서(5.4%)'로 나타났다.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경영애로사항(복수응답)은 경쟁심화(59.1%), 원재료비(42.1%), 상권쇠퇴(36.7%), 보증금·월세(25.6%), 최저임금(1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2023년은 일상으로의 회복이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증가한 부채와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소상공인의 경영여건이 여전히 녹록지 않았을 것"이라며 "중기부는 내수 활성화를 위해 올해 온누리상품권 발행을 5조5000억원으로 늘리고 3월 동행축제를 개최하는 동시에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저금리 자금 공급, 배달·택배비 지원 등도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중기부는 올해 3월 확정결과가 나오면 이를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정책 수립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세종=오세중 기자 danoh@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