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한수빈 기자 |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급등한 원·달러 환율이 상반기에 이어 올해 하반기 물가도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정치적 혼란이 뒤늦게 소비자에게 ‘물가 부담’이라는 청구서로 돌아오고 있는 셈이다.
한은이 27일 발표한 ‘환율의 장·단기 물가 전가효과 분석’ 보고서를 보면, 환율 변동률이 10%포인트 상승하면 1년 동안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총 0.47%포인트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이 급등한 3개월(단기) 뒤에는 소비자 물가가 전월 대비 0.28%포인트, 4~12개월(장기) 사이엔 물가가 0.19%포인트가 추가 상승한 영향이다. 단기 효과가 장기효과 보다 큰 셈이다. 환율의 소비자 물가 전가는 환율 변동 후 9개월 뒤에 가장 컸고 이후엔 소폭 줄어드는 흐름을 보였다.
연구팀은 학계에서 사용하는 변동률이 아닌 일반적인 환율 상승률로 계산할 경우, 올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지난해 대비 10% 상승 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5%포인트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0월부터 이어진 강달러 압력과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1480원선까지 치솟았다.
연구팀은 또한 환율 변동 후 3개월 안에 물가가 움직이는 품목 45개를 단기 민감 품목, 이후 9개월 동안 천천히 움직이는 품목 73개를 장기 민감 품목으로 분류했다.
이 결과, 환율 상승에 단기적으로 민감한 품목의 물가가 변동폭이 크지만 환율 영향에서 빠르게 벗어난다고 진단했다. 반면 장기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품목의 물가는 변동폭은 작지만 영향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중간재의 수입의존도가 높았던 식료품(바나나, 수입쇠고기 등)과 에너지(휘발유 등) 등 단기 민감 품목은 환율 급등 3개월 이내에 가격이 큰 폭으로 뛴 이후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외식서비스와 일반서비스(승용차렌트비 등)를 비롯한 장기민감품목은 가격의 변동폭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긴 기간 높은 수준이 유지됐다는 것이다.
다만, 최근처럼 환율이 크게 상승한 수준이 3개월 이상 유지되면 장기 민감 품목도 물가 상승에 큰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조강철 한은 물가동향팀 차장은 “환율이 다소 하락하더라도 그간 환율이 급등했던 것이 올해 하반기에도 잠재적인 물가상승 요인으로 남아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