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금융상황 점검회의 열어
이복현 "가계대출 쏠림 없이 안정적 관리해야"
"보험사 자산·부채 종합관리 모니터링 강화해야"
이복현 "가계대출 쏠림 없이 안정적 관리해야"
"보험사 자산·부채 종합관리 모니터링 강화해야"
[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에 대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5일 “은행권 가산금리 추이 등을 점검해달라”고 지시했다. 금감원은 “이 원장이 지난해 10월 이후 세 차례 인하된 기준금리가 가계기업 대출금리에 파급된 효과를 면밀히 분석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직후 이 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연 2.75%로 종전보다 0.25%포인트 인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그간의 금리 인하 효과가 우리 경제 곳곳에 전달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지난 1월에 비해 미국 관세 우려 및 환율상승 부담이 완화되고, 금융시장이 다소 안정돼 기준금리가 인하됐으나 국내 정치상황이나 고환율 지속 등으로 경기 회복을 위한 정책 대응이 제약될 수 있는 상황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감원은 오는 4월 1일 발표될 미국 무역관행 보고서에 따라 지정학적 갈등, 금융불안이 확대될 수 있는 등 대내외 경제·금융여건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진단했다.
![]()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5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금융감독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감원은 이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직후 이 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연 2.75%로 종전보다 0.25%포인트 인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그간의 금리 인하 효과가 우리 경제 곳곳에 전달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지난 1월에 비해 미국 관세 우려 및 환율상승 부담이 완화되고, 금융시장이 다소 안정돼 기준금리가 인하됐으나 국내 정치상황이나 고환율 지속 등으로 경기 회복을 위한 정책 대응이 제약될 수 있는 상황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감원은 오는 4월 1일 발표될 미국 무역관행 보고서에 따라 지정학적 갈등, 금융불안이 확대될 수 있는 등 대내외 경제·금융여건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진단했다.
이에 이 원장은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금융상황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시장 인프라 개선, 투자기반 확대 등을 통한 시장 활력 제고에도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우선 서울 일부 지역 부동산 가격이 회복세로 돌아선데다 이사철 매매수요 등이 금리 인하 기대감과 맞물려 가계대출 쏠림이 일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인 관리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또 시장금리 하락으로 보험사 자산·부채 듀레이션 갭(Gap)이 과도하게 확대되지 않도록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실태 모니터링을 강화하라고 했다.
한편 이 원장은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통상정책 변화로 비우호적 대외 환경에 처할 위험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리스크를 점검하고 지원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또 중소금융회사의 부실자산 정리 및 자본확충 등을 철저히 감독하고, 부진한 회사는 경영실태평가 및 현장검사 등을 통해 밀착 지도하라고 했다.
끝으로 이 원장은 오는 3월 공매도 재개, 대체거래소(ATS) 출범 등 시장 인프라 혁신이 조기에 안정되도록 빈틈없이 준비해 국내 자본시장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추진 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해달라고 했다.
![]() |
25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가 열렸다.(사진=금융감독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