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성장률 1.5%로 대폭 하향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3.0%에서 2.75%로 인하했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1.5%로 하향 조정했다. 환율 변동성이 완화됐고 경기 하방 압력은 커졌다는 점이 금리인하 배경이 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 금통위는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 회의실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0%에서 2.75%로 0.25%포인트(p) 인하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2022년 10월(2.5→3.0%) 이후 약 2년4개월 만에 2%대로 되돌아왔다.
앞서 한은은 2021년 8월(0.5→0.75%)을 시작으로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을 시작했다. 이 때부터 두 차례 빅스텝(한 번에 0.5%p 인상)을 포함해 총 10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연 3.5%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운용했다.
이후 지난해 10월 기준금리를 0.25%p 낮추며 인하 사이클에 돌입했다. 다음달인 11월 연속 인하로 3.0%까지 기준금리를 내렸다. 올해 첫 금통위였던 지난달에는 한 차례 동결을 선택했다.
한은의 이번 금리인하는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결정이다. 최근 머니투데이가 채권시장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명 모두 금리인하를 전망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경기가 안좋고 정부의 경기 부양 의지가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상대적으로 1월 금통위보다는 환율 레벨이 내려가 있는 상황까지 고려하면 인하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은 당초 전망인 1.8%를 유지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은 한은이 지난달 비공식적으로 제시한 전망(1.6~1.7%)보다도 하방 압력이 커졌다. 금리인하를 시작하면서 기대했던 내수 회복은 지연되고, 성장을 이끌어오던 수출 불확실성 마저 확대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이 확정되지 않은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김명실 iM증권 연구원은 "성장률 하향 배경엔 내수 회복 지연도 일부 영향이 있지만, 미국의 관세 영향이 가장 크다"며 "내수 회복은 지연되고 수출까지 나빠지면서 하방 압력이 커졌다"고 말했다.
한편 한은은 물가상승률 전망을 올해와 내년 모두 1.9%로 제시했다. 기존 전망치(1.9%·1.9%)와 동일하다.
김주현 기자 naro@mt.co.kr 세종=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