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정책연구원 조사…3명 중 1명 "다른 지역으로 이사 계획 있어"
지역 문화시설·교육여건 부족…"청소년 수요 반영한 정책 필요"
지역 문화시설·교육여건 부족…"청소년 수요 반영한 정책 필요"
![]() |
개강인데도 적막한 지방의 한 대학 입구 |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인구감소지역 89곳에 사는 청소년 중 과반은 언젠가 다른 지역에서 살길 희망하고, 3분의 1가량은 현재 다른 곳으로 이사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거주지에서 느끼는 가장 부족한 부분으론 문화시설과 교육여건이 꼽혀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23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인구감소지역 청소년정책 강화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이런 결과를 내놓았다.
작년 7월 인구감소지역 89곳에 거주하는 초·중·고교생 681명과 19∼24세 후기청소년 438명 등 총 1천1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54.5%가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런 경향은 초·중·고교생(50.3%)보다 후기 청소년(66.0%)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다른 지역으로 이사할 계획이 있다'는 비율은 전체의 32.9%였다.
특히 후기청소년의 54.3%가 이사계획이 있는 것으로 응답해 단기간 내 이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전체 청소년의 87.5%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학생 수가 줄고 있는 게 체감된다'고 답했다. 연령대 별로는 초·중·고교생 84.1%, 후기청소년 92.7%였다.
![]() |
성장환경에 대한 부정적 인식 |
청소년들이 자신의 성장환경에서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항목은 '문화시설의 부족'(3.11점·5점 만점)이었다.
이어 '교육여건 부족'(3.02점), '직접 체험활동 부족'(2.91점), '청소년 공간 및 시설 부족'(2.87점), '진학정보 부족'(2.81점), '직업정보 부족'(2.79점)의 순이었다.
문화시설 부족의 경우 후기청소년(3.82점)과 초·중·고교생(2.65점)의 격차가 1점 이상 벌어졌다.
교육여건 부족도 후기청소년(3.58점)과 초·중·고교생(2.66점)의 격차가 1점 가까이 났다.
반면에 자신의 성장환경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항목은 '거주지역이 익숙하고 편안함'이 4.05점으로 가장 높았다.
'공기가 맑고 자연환경이 좋음'(4.01점), '편한 이웃과 지인이 많음'(3.69점), '경제 수준이 유사한 친구들이 많음'(3.66점) 등이 뒤를 이었다.
'내가 사는 동네 및 지역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초·중·고교생(3.94점)이 후기청소년(3.18점)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 |
연령대별 일상 스트레스 |
'최근 1년간 일상의 스트레스 경험 빈도'를 묻는 항목은 평균 2.93점(4점 만점)으로 측정됐다. 연령대별로는 후기청소년(2.96점)이 초·중·고교생 점수(2.90점)를 웃돌았다.
일상에서의 무기력감 측정에서도 전체 평균(2.58점)보다 후기청소년(2.71점)의 점수가 더 높았다.
연구진은 "지역 청소년 정책의 현황을 점검하고 지역에 사는 아이들이 어떻게 생활하고 어떤 것을 원하는지 귀 기울여야 한다"며 "이들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체계적인 정책과제를 선정하고 투자 사업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
인구감소지역 |
shlamazel@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