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제 유가 등이 오르면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1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향후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 상승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해 12월(119.52)보다 0.6% 오른 120.18(2020년 수준 100)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11월(0.1%) 이후 석 달 연속 상승세다. 이달 오름폭은 2023년 8월(0.8%) 이후 1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7% 올라 18개월째 오름세였다.
전월 대비 등락률을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4.0% 상승했다. 농산물(7.9%)과 수산물(1.4%)이 출하 물량 감소 여파로 올랐다.
공산품은 0.6% 상승했다. 국제 유가 등이 오르면서 석탄·석유제품(4.0%)과 1차금속제품(1.2%) 등이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하수처리(2.8%) 등이 올랐지만 산업용 도시가스(-2.5%) 등은 내려 전월 대비 보합을 나타냈다. 서비스는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0.7%)와 사업지원서비스(1.1%) 등이 올라 0.4%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딸기(57.7%), 감귤(26.5%), 물오징어(8.4%), 멸치(13.9%), 원두커피(8.4%) 등이 크게 상승했다. 경유(7.7%), 휘발유(5.6%), 부타디엔(9.3%), 휴양콘도(18.0%) 등도 많이 올랐다. 이에 반해 돼지고기(-5.0%), 원화수입수수료(-22.4%) 등은 떨어졌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6% 상승해 넉 달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원재료(0.7%), 중간재(0.5%), 최종재(0.6%)가 모두 올랐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월 총산출물가지수 역시 0.7% 상승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2월 들어 국제 유가와 환율이 전월 평균보다 다소 내렸는데 월말까지 어느 정도 변동할지 불확실성이 있어 더 지켜봐야 한다”며 “국내외 경기동향, 공공요금 조정 여부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bald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