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등 미국 정부 관계자들이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 등 러시아 협상단과 회의를 마친 뒤 1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인터뷰에 나선 모습. [사진 출처 = A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을 위한 미국과 러시아 간 협상이 본격 시작됐다. 미국과 러시아가 우호적 분위기 속에 전쟁 종식 방안을 다룰 고위급 협의체를 구성하는 데 합의하면서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다만 첫 협상부터 우크라이나의 참여가 배제돼 전쟁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불만은 더 비등했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와 AP,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미·러 양국은 이날 우크라이나의 참여를 일단 배제한 채 이날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에서 장관급 협상을 열어 4시간 30분간 대화했다.
미국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을 협상단으로 내세웠다. 러시아에서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담당보좌관,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 대표 등이 참석했다.
태미 브루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양국의 외교 공관 운영을 정상화하는 데 필요한 조처들을 취할 목적으로 양자 관계 문제를 다룰 협의 메커니즘을 설치하는 데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자 고위급 팀을 임명해 영속적이고, 지속가능하며 양측이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능한 빨리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할 길을 만드는 노력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부연했다.
러시아의 라브로프 장관 역시 양국의 상대국 주재 대사가 신속히 임명될 것이라며 “미국 측이 우리의 입장을 더 잘 이해했다고 믿을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 |
1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장병들이 돈바스 지역에서 포격 지점에 대한 논의를 하는 모습. [사진 출처 = EPA,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끌어들이려는 시도가 현 상황의 주요인 중 하나라고 분명히 말했다”며 미국이 러시아 입장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서방의 대(對)러시아 제재 완화 문제도 거론된 것으로 보인다.
루비오 장관은 회담 후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서는 모든 당사자의 양보가 필요하다며 “유럽연합(EU)도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 시점에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브로프 장관도 회의와 관련, “호혜적인 경제 협력 발전을 막는 인위적 장벽을 제거하는 것에 대한 강한 관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외무부에 따르면 미국과 러시아는 특히 에너지, 우주탐사 등을 포함한 경제 협력을 재개하기 위한 대화를 시작하기로 했다. 또 핵 강국이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국제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소통 채널도 재개하기로 했다.
양국이 고위급 대화 재개에 나선 건 지난 12일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우크라이나 종전 논의를 즉각 시작하자는 데 합의한 지 불과 엿새 만이다.
이날 협상장에는 파이살 빈 파르한 알사우드 사우디 외무장관도 배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가까운 사이다. 이 때문에 사우디가 이번 종전 협상에서 중재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러 간 직접 접촉으로 종전 협상이 급물살을 타자 당사자인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정상회담하며 우군 확보에 나섰다.
![]()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공동 기자회견에 나선 모습. [사진 출처 = 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젤렌스키 대통령은 에르도안 대통령과 회담한 뒤 회견에서 “유럽은 우리 세계의 운명과 관련해 필요한 안전보장 발전과 대화에 미국과 함께 참여해야 한다”며 종전 논의가 공정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는 물론, 유럽도 참석하지 못한 미·러 주도의 첫 협상을 두고 강한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에르도안 대통령의 경우 “우크라이나의 영토 보전과 주권에 대해 이견의 여지가 없다”며 젤렌스키 대통령에 공감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종전 논의에 대해 “협상을 통해 전쟁을 신속히 끝내려고 하는 외교적 이니셔티브”라고 높이 평가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또 “튀르키예는 가까운 미래에 열릴 러시아, 우크라이나, 미국 간 회담의 이상적인 개최 장소가 될 수 있다”고 제안하며 중재역을 자처했다.
EU는 이날 미국이 러시아와 회담한 후 ‘양보’를 언급하며 EU의 제재를 지목한 것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미·러 회담으로 이른바 ‘유럽 패싱’이 심화하는 것을 가만히 두고 볼 수 없다는 분위기다.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EU 경제담당 집행위원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러시아를 겨냥할 수 있는 추가 조처를 준비 중”이라며 16차 제재를 예고했다.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대표 또한 이날 오후 공개된 EU 전문매체 유락티브와 인터뷰에서 관련 질문에 “우리가 손에 쥐고 있는 강력한 카드를 내주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고 제재 완화 반대 입장을 공고히 했다.
최근 우크라이나와 유럽 안보에 대한 비공식 회의를 개최했던 프랑스는 오는 19일 2차 회의를 열기로 했다. 1차 때 참석하지 않은 유럽 국가들과 나토 동맹국인 캐나다도 초청된 것으로 전해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