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주52시간제 예외 조항을 두고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해 반도체특별법이 불발됐습니다. 이를 놓고 여야가 책임공방을 벌이고 있는데,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여당 몽니"때문이라고 하자,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거짓말 리스트만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정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야는 어제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특별법 마련에 머리를 맞댔지만,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주52시간제 적용 예외 특례를 고집하면서, 이미 합의된 보조금 지원과 인프라 구축 등 나머지 내용까지 반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원이 / 더불어민주당 의원
"실제 반도체 산업을 도와주기 위해서는 민주당 의견대로 하는 게 옳다는 걸 알면서도 아마 당리당략 때문에….”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여당의 무책임한 몽니로 산업 경쟁력이 발목 잡혔다"고 했습니다.
이달 초 반도체특별법 토론회에서 주52시간제 예외 필요성을 인정하는 취지의 발언을 해놓고, 당 안팎의 반발에 입장을 바꾼게 아니냐는 겁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난 3일)
"예외로 그들이 몰아서 일할 수 있게 해주자, 이걸 왜 안 해주냐라고 하니까 전 할 말이 없더라고요."
그러면서 "이 대표가 외치는 '친기업'과 '성장'은 조기 대선을 겨냥한 기회주의적 술책"이라고 했습니다.
"요즘 들어 성장을 외치는데 정작 성장하는 것은 이재명 대표의 ‘거짓말 리스트’ 뿐입니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주52시간 특례가 장시간 노동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해소될 수 있다"며 여야 합의를 재차 촉구했습니다.
모레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논의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추경과 연금개혁안까지 이견이 큰 사안이 많아 합의 도출은 쉽지 않을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TV조선 전정원입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주52시간제 예외 조항을 두고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해 반도체특별법이 불발됐습니다. 이를 놓고 여야가 책임공방을 벌이고 있는데,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여당 몽니"때문이라고 하자,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거짓말 리스트만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정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야는 어제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특별법 마련에 머리를 맞댔지만,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주52시간제 적용 예외 특례를 고집하면서, 이미 합의된 보조금 지원과 인프라 구축 등 나머지 내용까지 반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원이 / 더불어민주당 의원
"실제 반도체 산업을 도와주기 위해서는 민주당 의견대로 하는 게 옳다는 걸 알면서도 아마 당리당략 때문에….”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여당의 무책임한 몽니로 산업 경쟁력이 발목 잡혔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국민의힘은 이 대표가 ‘경제 허위사실공표’를 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이달 초 반도체특별법 토론회에서 주52시간제 예외 필요성을 인정하는 취지의 발언을 해놓고, 당 안팎의 반발에 입장을 바꾼게 아니냐는 겁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난 3일)
"예외로 그들이 몰아서 일할 수 있게 해주자, 이걸 왜 안 해주냐라고 하니까 전 할 말이 없더라고요."
그러면서 "이 대표가 외치는 '친기업'과 '성장'은 조기 대선을 겨냥한 기회주의적 술책"이라고 했습니다.
권성동 / 국민의힘 원내대표
"요즘 들어 성장을 외치는데 정작 성장하는 것은 이재명 대표의 ‘거짓말 리스트’ 뿐입니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주52시간 특례가 장시간 노동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해소될 수 있다"며 여야 합의를 재차 촉구했습니다.
모레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논의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추경과 연금개혁안까지 이견이 큰 사안이 많아 합의 도출은 쉽지 않을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TV조선 전정원입니다.
전정원 기자(garde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