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글을 올렸다가 한 시 간만에 삭제하고는 관리자의 실수였다고 해명했습니다. 이 대표의 불만은 개혁신당 내분과정에서 불거진 문자메시지가 촉발시켰는데,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언론에 대한 속내를 드러낸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게다가 이 대표가 비판한 프로그램은 여권에 호의적이지 않은 걸로 대체로 분류되는데, 왜 그런건지, 최원국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올린 SNS 글입니다. CBS 라디오 CBS 라디오의 한 프로그램을 지목해 "이런 악의적 프레임이 다 이유가 있었던 모양"이라며 "대체 민주당과 이재명에게 왜 이렇게 심하게 하나 했더니"라고 적었습니다.
지난해 8월 한 정치평론가가 정부와 여야를 한미와 북한 관계로 비유한 방송도 첨부했습니다.
이 대표의 라디오 프로그램 비판은 최근 개혁신당 내홍 중 불거진 '유착설' 논란과 무관치 않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허은아 전 대표는 과거 이준석 의원이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에게 자료를 보내고 특정 질문을 하도록 개입했다며 대화 내용을 공개했는데, 해당 정치평론가가 출연할 땐 댓글창까지 내렸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대표 측은 "관리자 실수"라며 해당 글을 한 시간 만에 삭제했지만, 언론에 대한 불신을 드러낸 게 아니냔 지적이 나옵니다.
이 대표는 지난해 검찰에 출석하며 언론을 애완견에 비유한 바 있 있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난해 6월)
"진실을 보도하기는커녕 마치 검찰의 애완견처럼 주는 정보 받아서 열심히 왜곡 조작하고 있지 않습니까"
TV조선 최원국입니다.
최원국 기자(wgchoi@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글을 올렸다가 한 시 간만에 삭제하고는 관리자의 실수였다고 해명했습니다. 이 대표의 불만은 개혁신당 내분과정에서 불거진 문자메시지가 촉발시켰는데,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언론에 대한 속내를 드러낸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게다가 이 대표가 비판한 프로그램은 여권에 호의적이지 않은 걸로 대체로 분류되는데, 왜 그런건지, 최원국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올린 SNS 글입니다. CBS 라디오 CBS 라디오의 한 프로그램을 지목해 "이런 악의적 프레임이 다 이유가 있었던 모양"이라며 "대체 민주당과 이재명에게 왜 이렇게 심하게 하나 했더니"라고 적었습니다.
지난해 8월 한 정치평론가가 정부와 여야를 한미와 북한 관계로 비유한 방송도 첨부했습니다.
이 대표의 라디오 프로그램 비판은 최근 개혁신당 내홍 중 불거진 '유착설' 논란과 무관치 않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허은아 전 대표는 과거 이준석 의원이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에게 자료를 보내고 특정 질문을 하도록 개입했다며 대화 내용을 공개했는데, 해당 정치평론가가 출연할 땐 댓글창까지 내렸다고 주장했습니다.
허 전 대표가 제기한 유착 의혹을 이 대표가 받은 셈인데, CBS 측은 앞서 "특정인의 지시나 강압에 따라 방송한 적 없고, 댓글 차단은 기술적 문제에 따른 대응이었다"고 반박한 바 있습니다.
이 대표 측은 "관리자 실수"라며 해당 글을 한 시간 만에 삭제했지만, 언론에 대한 불신을 드러낸 게 아니냔 지적이 나옵니다.
이 대표는 지난해 검찰에 출석하며 언론을 애완견에 비유한 바 있 있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난해 6월)
"진실을 보도하기는커녕 마치 검찰의 애완견처럼 주는 정보 받아서 열심히 왜곡 조작하고 있지 않습니까"
CBS 홈페이지와 이 대표가 지적한 영상엔 비판글이 이어지고 있는데 국민의힘은 "이 대표가 비판적 언론에 좌표찍기를 한 것"이라고 일침했습니다.
TV조선 최원국입니다.
최원국 기자(wgchoi@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