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무기 구매 협상 중”
中위협에 美의존도 더 커져
‘트럼프 지지 확보’ 해석도
中위협에 美의존도 더 커져
‘트럼프 지지 확보’ 해석도
![]() |
2017년 대만 북부 신주 육군 기지에서 대만 특수부대원들이 중국의 침공을 가정한 연례 한광(漢光)훈련을 마친후 경례를 하고 있다. [사진 = 로이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만이 미국에서 최대 100억달러(약 14조4200억원) 상당의 무기를 구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의 군사적 압박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익명을 요구한 3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양측이 무기 구매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이 같이 전했다. 이어 “중국이 대만에 군사적 압박을 계속 가하고 있디보니 대만이 미국의 지원을 받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번 무기 구매 계획에는 해안 방어 순항 미사일과 하이마스(HIMARS·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며 “(무기 구매 규모는) 70억~100억달러 사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대만은 정밀 탄약, 방공 업그레이드, 지휘 및 통제 시스템, 예비군 장비 및 대드론 기술을 우선시하는 특별 방위 예산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 사안에 대해 대만 국방부는 “방위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내용에 관한 언급을 거부했다. 미국 백악관은 논평에 즉시 응답하지 않았지만,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대만에 신속하게 무기를 인도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만을 향해 국방비 인상을 꾸준히 요구해왔다. 지난해 대선 기간에 한 인터뷰에서는 “대만이 방어를 위해 우리에게 돈을 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대만 싱크탱크인 대만국제전략연구회의 맥스 로 이사는 “라이칭더 대만 총통의 강한 독립 성향으로 미국에 대한 대만의 의존도가 커졌다”며 “대만 국방비에 대한 미국의 기대도 2000년대 국내총생산(GDP)의 3%에서 최근에는 5%로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그동안 대만은 중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동시에 미국의 지지를 얻기 위해 미국산 무기를 구매해왔다. 미국은 ‘대만관계법’에 따라 대만 방위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이든 행정부 때 대만은 총 17차례(76억9700만달러) 미국산 무기를 사기로 했다.
한편, 지난 16일(현지시간)에는 미국 국무부가 홈페이지에서 ‘대만 독립 반대’ 문구를 삭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에 중국 외교부는 “미국은 즉각 오류를 시정하라”며 “대만 문제를 신중히 처리하라”고 비판했다. 지난 17일에는 일본 법무성이 호적 관련 성령을 개정해 올해 5월부터 대만인이 호적에서 자신의 국적을 기존 ‘중국’이 아닌 ‘대만’으로 표기할 수 있게 허용하기로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