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5 (토)

이슈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세

남북관계 증인이자 기자들 ‘큰누님’·‘맏언니’ 허희옥 前기자실장 영면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일부 기자실 25년 지키며 200여회 남북행사 참여

건강 악화로 지난해 명예퇴직…대통령 표창 등 포상

25년 간 통일부 기자실장으로 근무하며 남북관계의 역사적 순간마다 현장을 지켰던 허희옥(59) 전 통일부 기자실장(행정사무관)이 17일 별세했다. 허 전 실장이 작년 4월 기자들이 마련한 명예퇴임식 뒤 꽃다발을 들고 웃고 있다. [신대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남북관계의 역사적 순간마다 취재지원 현장을 지켰던 허희옥 전 통일부 기자실장(행정사무관)이 17일 별세했다. 향년 59세.

허 전 실장은 1986년 통일부의 전신인 국토통일원으로 입부해 작년 명예퇴임하기 전까지 200여회에 달하는 남북 회담과 교류의 최일선에 자리했던 남북관계 역사에 있어 산증인이었다.

37년 9개월의 근무기간 중 25년을 기자실을 관리·운영하는 대변인실 소속 기자실장을 맡아 임무를 수행했다.

2012년 암 판정을 받은 데 이어 몇 해 전 재발해 투병하는 속에서도 근무해오다 건강 악화로 작년 4월 예정보다 일찍 사직했다.

허 실장은 정부의 통일정책과 남북정책이 국민들에게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도록 취재활동을 물심양면 지원한 기자들의 ‘큰누님’이자 ‘맏언니’였다.

남북관계가 좋은 이유로, 혹은 나쁜 이유로 밤샘회담이 이어질 때 기자들과 함께 밤을 새거나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나 기자실에서 간식을 내오며 특유의 말투와 함께 던지곤 했던 “잡솨”는 통일부 안팎의 유행어였다.

광화문 통일부 청사와 남북회담본부, 판문점은 물론 평양과 개성, 금강산 등 북한 곳곳에도 그녀의 흔적이 묻어있다.

남북관계 최일선에서 오래 근무한 탓에 북한 측 인사들에게도 널리 알려졌었다.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2018년 평양에서 열린 10·4선언 11주년 기념 민족통일대회 당시 서울과 다른 생소하고 열악한 환경에서 허 실장이 일처리 하는 모습을 보곤 “일 잘하는 기자실장 선생”이라고 평한 건 널리 알려진 일화다.

허 실장은 기자실장으로서뿐 아니라 공무원 본연의 임무에서도 높이 평가받았다.

재직기간 대통령 표창 1회, 국무총리 표창 1회, 장관급 표창 5회 등 정책소통과 여성공무원 권익 향상 등 공로로 총 9건의 포상을 받았다.

개인적으로 탈북민 후원과 기부 등 활동을 해온 게 뒤늦게 알려지기도 했다.

허 전 실장은 작년 4월 기자들이 통일부 청사에서 마련한 명예퇴임식을 끝으로 물러나면서 “기자실은 저한테 전부였던 것 같아요”라며 “좋게 나갔으면 좋을텐데 몸이 안 좋은 상태로 나가서 너무 마음이 아파요. 그동안 너무 고마웠고 정말 진심을 다해 기자들을 사랑하고 좋아했습니다”고 말해 함께 자리한 기자들의 눈시울을 붉혔다.

빈소는 서울의료원장례식장 3호실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9일 예정이다. 장지는 유일 추모공원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