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 당시 질서유지를 위해 군을 투입했다고 주장했죠.
하지만 국회 전기가 끊어졌던 사실이 확인되면서 설득력을 잃게 됐습니다.
언론사 단전·단수 문건이 대통령 집무실에 있었다는 증언까지 최근에 나왔습니다.
구민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김현태/특전사 707특수임무단장(지난 6일)]
"사람이 많고 못 들어간다 이런 식으로 설명드렸는데 그때 '전기라도 차단하는 방법 없겠냐' 이런 말씀하셔서 그럼 한번 찾아보겠다 그러면서 지하 1층으로 이동했습니다."
당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과 함께 있었던 김 모 방첩부대장은 검찰 조사에서, "곽 전 사령관이 대통령 전화를 받은 뒤, 이전과 달리 본회의장 강제 단전 이야기가 나왔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진술했습니다.
이어 "전기를 끊으면 의결시스템을 못 쓰지 않을까 생각하는 것으로 보였다"고 했습니다.
다만 단전 논의는 '의원 끌어내라'는 대통령 지시 이후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김형두/헌법재판관-곽종근/전 특전사령관(지난 6일)]
"<전기 끊어야 되나 이 생각을 했다는 건데 뭔가 무슨 지시를 받았기 때문에 그거 하려면 뭘 이걸 해야 되나 하고 생각했다는 거죠?> 예."
소방청장에게 전화한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도 계엄 당일 대통령집무실 원탁 위에 놓여 있던 '단전·단수' 관련 문건을 봤다고 인정했습니다.
"종이쪽지 몇 개를 좀 멀리서 본 게 있습니다. 소방청, 단전, 단수 이런 내용이 적혀 있었습니다."
계엄군 투입의 목적은 '질서유지'였다는 윤석열 대통령, 하지만 단전·단수 문건과 함께 계엄군이 국회 전기를 끊었다는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계엄의 위헌·위법성은 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구민지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 당시 질서유지를 위해 군을 투입했다고 주장했죠.
하지만 국회 전기가 끊어졌던 사실이 확인되면서 설득력을 잃게 됐습니다.
언론사 단전·단수 문건이 대통령 집무실에 있었다는 증언까지 최근에 나왔습니다.
구민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계엄 당일 국회 투입 병력을 현장 지휘했던 김현태 특전사 707특임단장은 최근 헌법재판소에 증인으로 나와 국회의사당 전기를 차단하려 한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김현태/특전사 707특수임무단장(지난 6일)]
"사람이 많고 못 들어간다 이런 식으로 설명드렸는데 그때 '전기라도 차단하는 방법 없겠냐' 이런 말씀하셔서 그럼 한번 찾아보겠다 그러면서 지하 1층으로 이동했습니다."
당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과 함께 있었던 김 모 방첩부대장은 검찰 조사에서, "곽 전 사령관이 대통령 전화를 받은 뒤, 이전과 달리 본회의장 강제 단전 이야기가 나왔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진술했습니다.
이어 "전기를 끊으면 의결시스템을 못 쓰지 않을까 생각하는 것으로 보였다"고 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단전은 자신의 생각이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단전 논의는 '의원 끌어내라'는 대통령 지시 이후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김형두/헌법재판관-곽종근/전 특전사령관(지난 6일)]
"<전기 끊어야 되나 이 생각을 했다는 건데 뭔가 무슨 지시를 받았기 때문에 그거 하려면 뭘 이걸 해야 되나 하고 생각했다는 거죠?> 예."
소방청장에게 전화한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도 계엄 당일 대통령집무실 원탁 위에 놓여 있던 '단전·단수' 관련 문건을 봤다고 인정했습니다.
[이상민/전 행안부장관(지난 11일)]
"종이쪽지 몇 개를 좀 멀리서 본 게 있습니다. 소방청, 단전, 단수 이런 내용이 적혀 있었습니다."
계엄군 투입의 목적은 '질서유지'였다는 윤석열 대통령, 하지만 단전·단수 문건과 함께 계엄군이 국회 전기를 끊었다는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계엄의 위헌·위법성은 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구민지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구민지 기자(nine@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